logo

slider01 slider02 slider03 slider04
프란치스칸 성인/성지












 


The Virgin Mary - EL GRECO.


1594-1604.Oil on canvas, 52 x 41 cm.Museo del Prado, Madrid


 


 


9월 15일


고통의 성모 마리아 기념일


Feast of Our Lady of Sorrows


Beata Vergine Maria Addolorata
Maria = amata da Dio, dall'egiziano; signora, dall'ebraico


 


고통의 성모 마리아 기념일인 오늘은, 하느님께서 우리 인간을 구원하시는 구세사에서 결정적인 순간을 마음에 되새기고,


"십자가에 높이 달리신 아드님과 함께 수난하시는" 어머니를 기념하는 날로, ’십자가 현양 축일’ 다음 날에 마리아의 고통을 기념한다.


 


성모님께서는 "당신 외 아드님과 함께 심한 고통을 당하셨고


아드님의 제사를 모성애로써 함께 바치셨으며 당신이 낳으신 희생자의 봉헌을 사랑으로 동의하셨다"(교회헌장 58항).


사실 성모님께서는 예수님을 잉태하신 순간부터 일생을 고통 속에서 사셨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시므온의 예언에서부터, 이집트 피난, 12세의 아들 예수를 잃고 3일을 근심 속에서 찾아 헤매던 일,


그리고 십자가 위에서 숨진 아들을 안고 통곡하는 등 일생을 예수님의 길을 뒤따르며 어머니로서 아드님의 고통에 함께 동참하셨다.


그래서 성 베르나르도는 성모님의 이러한 삶을 "정신적 순교"의 삶이라고 하였다.


교회는 예수님과 함께 고통을 받으시고 오늘도 우리의 죄로 인해 고통 받으시는 어머니의 고통의 의미를 기념하기 위해 이 축일을 제정하였다.


 


이 기념일은 그 기원이 중세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1011년 독일 파다본(Paderborn) 부근의 십자가 곁에 계시는 마리아에게 봉헌된 경당이 발견된다.


고통받은 동정녀께 대한 신심은 12,13세기 프란치스코 수도회 전통에서 발견된다.


이어서 두 가지 축제가 통고의 마리아를 기리기 위해 생겨났다.


하나는 마리아의 시종회에서 9월 셋째 주에 거행하였다. 이것은 교황 비오 7세(1814)에 의해 모든 교회에 보급되었다.


비오 10세는 주님의 십자가 현양 다음날인 9월 15일로 날짜를 확정하였다.


또 다른 축제는 쾰른 시노드에서 제정된 것이다(1423).


십자가와 그분의 어머니에 대한 성화를 못마땅하게 여긴 성당 파괴자 우씨티(Ussiti)들로부터 당한 신성모독 행위를 보상하는 차원에서 세워진 것이다.


 


축제는 1727년 모든 교회에 퍼졌다. 무엇보다 마리아의 시종회원들의 노력 덕분이다.


이 축제는 성지주일 전 금요일에 거행되었으며, 1969년 로마 전례 개혁은 두 가지 축일을 하나로 합쳤다.


마리아께서 그리스도의 수난에 적극적으로 동참하였음을 드러낸다.


즉 하느님의 구원 계획에 깊이 참여하였음을 드러낸다. 그리스도의 구원을 위한 결정적 사건을 재확인하게 한다.


 


*원죄없으신 성모기사회에서 http://www.mikorea.or.kr


 



 


Our Lady of the Seven Sorrows-ISENBRANT, Adriaen.


1518-35.Panel.O.L.Vrouwekerk,Bruges


 


성모님의 고통-성모칠고


 


1. 우리들의 삶은 피하고 싶은 고통의 연속입니다.


 


언뜻 너무나 행복해 보이는 사람도 그 속내를 들여야 보면 나름대로의 고통 속에 살아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고통은 인간에게 피할 수 없는 멍에입니다. 고통 없이 살아가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경중(輕重)의 차이가 있을지 몰라도 누구에게나 고통은 있고, 자신의 고통이 다른 누구의 고통보다도 크고 무겁게 느껴지기 마련입니다.


 


2. 성모님 역시 우리와 마찬가지로 계속되는 고통의 삶을 사셨습니다.


 


성모님이라 해서 삶의 고단함으로부터 예외인 존재는 아니었던 것입니다.


성서에도 예수님으로 인해 받았던 성모님의 고통이 여러 장면 등장하는데, 이중 일곱 가지 장면을 모아 성모칠고(聖母七苦)라 부르고 있습니다.


 


① 시메온의 예언(루가2,35) - 당신의 마음은 예리한 칼에 찔리듯 아플것입니다.


② 에집트로 피신하심(마태2,14) - 그 밤으로... 에집트로 가서... 거기서 살았다.


③ 성전에서 삼일 동안 예수를 잃으심(루가2,48) - 왜 이렇게 우리를 애태우느냐?


④ 예수, 골고타 갈바리아로 오르심(요한19,17) - 십자가의 길에서 예수와 만나심


⑤ 예수, 십자가에 못박히시고 죽으심(요한19,25) - 십자가 밑에는 그 어머니가 서 있었다.


⑥ 예수, 십자가에서 내리심(요한19,40)


⑦ 예수, 무덤에 묻히심(요한19,42)


 


*성모 칠고 묵주기도:인창동성당게시판1657번*


http://home.catholic.or.kr/gnbbs/ncbbs.dll/chinchang


 


3. 그런데 성모님의 고통이 우리에게는 희망이 됩니다.


 


당신이 겪으셨기에 우리를 위로해 주리라 희망할 수 있는 것입니다. 성모님께서는 아들 예수가 죽는 모습까지도 지켜보신 분입니다.


불효중의 불효는 자식이 부모보다 먼저 세상을 떠나는 일이고, 고통중의 고통은 자신보다 자식을 먼저 떠나보내야 하는 부모의 고통입니다.


그런데 성모님은 아들의 손과 발에 못이 박히는 처참한 광경을 눈앞에서 지켜보셨고, 마지막 숨을 거두실 때까지 십자가 아래에서 함께 고통스러워하셨습니다.


성모님이 이 같은 고통을 겪으셨기에 우리가 겪는 어떤 고통도 모두 이해해주실 수 있습니다.


성모님이 이 모든 고통을 이겨 내셨기에 우리의 고통도 이겨내도록 도와주십니다.


 


4. 그러니 삶에서 고통을 느낄 때 성모님께 기도하십시오.


 


당신께서 겪으셨던 그 고통을 이제 나도 겪고 있으니 도와달라고 기도하십시오. 당신께서도 이미 겪으셨으니 제발 나를 위로해 달라고 기도하십시오.


당신의 따뜻한 사랑으로 나를 이 고통의 폭풍 속에서 건져달라고 애원하십시오. 어머니께서는 간구하는 우리의 기도를 외면하시는 분이 아닙니다.


 


*마리아동산에서 http://www.maria21.net


 



 


Mater Dolorosa(with clasped hands)-TIZIANO Vecellio.


1550.Oil on canvas,68 x 61cm.Museo del Prado,Madrid


 


십자가 현양(9월14일)을 기리는 다음난 통고의 성모란 뜻을 지닌 돌로로사를 기념한다.


십자가 밑에서 아드님을 희생제물로 바치신 마리아는 주님의 부활에 특이하게 참여 하신것 처럼


그 수난에도 그렇게 참여하셔서 자신의 승천 때보다는 더 어머니시였다.


 


칼날이 그 마음을 찌른 것도 예수님의 찔린 옆구리에서 신비체의 모든 지체에 모성이 끼어든 것도 십자가 밑에서였다.


티없는 잉태와 하늘에 올림을 받으신 때와 같이 예수와 함께 수난하신 고통에 있어서도 마리아는 교회의 상징이시다.


 


세기를 통해서 이세상 어디서나 고통받는 그리스도의 수난은 계속되기 때문에 교회가 그리스도와 함께 수난하면 그분과 함께 부활할 것이다.


그래서 우리는 십자가를 지도록 불린 것을 영광으로 알고 기쁘게 져야할것이다.


 



 


성모마리아의 고통은 아들 예수 그리스도로 인하여 받았던 슬픔과 고통을 말합니다.


성모 통고는 예수님의 구세사적인 수난과 죽음에서 절정을 이룹니다.


성모 통고에 대한 신심은 성모님께서 예수님의 십자가 아래 서 있었다는 사실에 근거합니다.


또한 성모마리아가 아기예수님을 성전에 봉헌하러 갔을 때 예언자 시메온이 성모님의 마음이 날카로운 칼에 찔리듯 괴로움을 받게 되리라는 예언에도 근거합니다.


 


성모통고에 대한 신심은 6세기에 동방에서 먼저 발달되어,여러 예술 작품을 통해 이를 표현 해 왔습니다.


서방에서는 12세기에 시작되어 이 신심을 목적으로한 성모 마리아의 시녀회가 창립(1233년)되면서 이 신심이 본격적으로 전파되었습니다.


성모 통고의 숫자는 처음에는 확정되지 않았는데 성모 칠락과 연관되어 칠고로 고정되었는데 이는 쿠덴베르크의 사제였던 요한의 영향 때문이었습니다.


 


*聖母七樂:


1. 領報 2.엘리사벳방문 3.예수탄생 4.예수공현 5.성전에서 예수님을 찾으심 6.예수부활 7.성모승천


*성모칠락 묵주기도:게시판1408번.


http://home.catholic.or.kr/gnbbs/ncbbs.dll/chinchang


 


성모고통의 기념일은 16세기 세르비트회가 주창한 성모통고 신심에서 시작된 것으로 9월 셋째주일에 미사와 행렬을 하는 것이 1600년 경에는 대중화 되어,


1668년 교황 복자 인노첸시오 11세에 의해 축일로 인가 되었습니다.


1814년 교황 비오 7세가 이 축일을 전교회로 확장시켰으며, 1908년 교황 성 비오 10세가 축일의 등급을 높였으며 1913년 부터는 9월 15일로 고정 되었습니다.


 



 


The Seven Sorrows of the Virgin-DURER, Albrecht.


c.1496. Oil on panel,Alte Pinakothek,Munchen and Gemaldegalerie, Dresden


 


부속가


11. 주예수님 높이달린, 십자곁에 성모서서, 비통하게 우시네.


12. 섧고슬픈 성모성심, 수난칼에 깊이찔려, 참혹하게 뚫렸네.


13. 여인중에 복된성모, 독생성자 수난하니, 그고통이 크시네.


14. 아들수난 보는성모, 맘을에는 비통중에, 하염없이 우시네.


15. 예수모친 이런통고, 받으심을 보는우리, 누가울지 않으리?


16. 십자가상 아들함께, 고통받는 성모보고, 누가통곡 않으리?


17. 아들예수 우리죄로, 채찍모욕 당하심을, 애처로이 보시네.


18. 기진하여 버려진채, 죽어가는 아들보고, 성모슬피 우시네.


19. 사랑의샘 성모시여, 저에게도 슬픔나눠, 함께울게 하소서.


10. 제마음에 주예수님, 사랑하는 불을놓아, 타오르게 하소서.


11. 어머니께 청하오니, 제맘속에 주님상처, 깊이새겨 주소서.


12. 저를위해 상처입고, 수난하신 주님통고, 제게나눠 주소서.


13. 사는동안 주님함께, 십자고통 아파하며, 참아받게 하소서.


14. 성모따라 십자곁에, 저도서서 한맘으로, 슬피울게 하소서.


15. 동정중의 동정이여, 괴롬슬픔 나누시어, 저도울게 하소서.


16. 예수님의 죽음수난, 깊은상처 마음새겨, 우러르게 하소서.


17. 아들상처 저도입고, 십자가위 흘린피로, 흠뻑젖게 하소서.


18. 정결하신 동정성모, 심판날에 저를지켜, 영벌면케 하소서.


19. 그리스도 수난공로, 은총으로 돌보시고, 저를길러 주소서.


20. 제가죽어 세상뜰때, 천국영광 주예수님, 만나뵙게 하소서.


 


-오늘의 말씀에서-


 



 


Pieta - UNKNOWN MASTER,German.c.1400.


 


 


성 베르나르도 아빠스의 강론에서


(Sermo in dom. infra oct. Assumptionis, 14-15: Opera omnia, Edit. Cisterc. 5[1968], 273-274)


 


당신의 어머니께서 십자가 곁에 서 계셨다.


 


동정 마리아의 순교가 시므온의 예언과 주님의 수난기에 묘사되어 있습니다.


경건한 노인 시므온은 아기 예수께 대해 "이 아기는 많은 사람들의 반대를 받는 표적이 될 것입니다." 하고 말하고


마리아께는 "예리한 칼이 당신의 영혼을 찌를 것입니다." 하고 말했습니다.


 


복되신 성모여, 예리한 칼이 당신의 영혼을 창으로 찔렀습니다. 그칼이 당신의 영혼을 찌름 없이는 당신 아드님의 육신을 꿰뚫을 수 없었습니다.


그리고 모든 이의 것이지만 특별히 당신의 것인 아들 예수께서 숨을 거두신 후, 그 잔혹한 창은 그분의 영혼에 가 닿을 수 없었습니다.


실상 그분이 죽임당하신 후 불능의 상태에서마저 마냥 두지 않은 그들이 그분의 옆구리를 펼쳐 놓았을 때,


그분께 고통을 줄 수 없었지만 당신께는 그러하지 않았습니다.


그때에 창은 당신의 영혼을 찔렀습니다. 그리스도의 영혼은 더 이상 거기에 계시지 않았으나 당신의 영혼은 거기서 떨어져 나오지 못했습니다.


당신의 영혼은 고통의 창으로 찔리었기에 우리는 당신이 순교자들을 능가하시는 분이라고 마땅히 일컫습니다.


당신 아드님의 수난에 참여함은 그 강렬함에서 순교의 모든 육체적 고통을 능가했기 때문입니다.


 


"어머니, 이 사람이 어머니의 아들입니다."라는 그때 그 말씀은


당신의 영혼을 창으로 찌르고 당신의 영혼과 마음을 갈라놓을 정도로 깊숙이 들어간 칼보다 더 고통스러운 것이 아니었겠습니까?


오, 놀라운 교환이여! 당신은 예수님 대신에 요한을, 주인 대신에 종을, 스승 대신에 제자를,


하느님의 아들 대신 제베대오의 아들을, 참 하느님 대신에 일개 인간을 받으셨습니다.


그 말씀을 기억할 때 돌이나 쇠보다 더 굳은 우리의 마음은 산산이 부서지는데, 하물며 그 말씀은 당신의 섬세한 영혼을 찌르지 않았겠습니까?


 


형제들이여, 마리아께서 영신의 순교자가 되셨다는 말을 들을 때 놀라지 마십시오.


그 말을 듣고서 이방인이 지닌 최대의 결점 중에 하나는 동정심이 없는 점이라고 사도 바울로가 지적한 것을 잊어버리는 사람만이 놀랄 것입니다.


마리아께는 물론 그런 결점이 없었고 또 마리아를 섬기는 이들에게도 그런 결점이 없어야 하겠습니다.


 


누군가가 "마리아께서 당신 아드님이 죽으셔야 한다는 점을 미리 알고 계시지 않았겠는가?" 하고 물어 볼지 모르겠습니다.


네, 알고 계셨습니다. 그리고 "당신 아드님께서 즉시 부활하시리라는 확실한 희망을 갖고 계시지 않았겠는가?"


물론 갖고 계셨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분이 십자가에 못박히실 때 마리아는 슬픔을 느끼셨겠는가?"


더할 수 없는 슬픔을 느끼셨습니다. 그런데 형제여,


마리아의 아드님이 느끼신 슬픔 자체에 대해서보다 그 수난에 참여하신 마리아의 고통에 대해 더 놀라는데


당신은 도대체 누구이고 무슨 판단을 가지고 있길래 놀랍니까?


아드님께서 육신으로 죽으실 수 있었다면 마리아께서는 영신으로 그 죽음에 참여할 수 없으셨겠습니까?


 


아드님은 다른 어떤 사람의 사랑보다 더 위대한 사랑으로 죽임을 당하셨고


마리아께서는 그리스도를 제외한 다른 어는 누구의 사랑에도 비교할 수 없는 사랑으로 그 죽음에 참여하셨습니다.  


 



 


Mater Dolorosa - QUELLIN, Artus I.1650.Polychrome wood.Sint-Jacobskerk, Antwerp


 


성모 통고


 


교회는 성 십자가 현양 축일을 지낸 다음 날에 성모 통고 축일(9월 15일)을 지낸다.


이렇게 마리아 어머니의 고통을 지내는 신심은 14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복음서에 근거하고 있고, 또 이 축일은 풍성한 영신적 이익을 가져다 주고 있다.


 


1. 복음서의 근거


"예수의 십자가 밑에는 그 어머니가 서 있었다"(요한19,25).


마리아 어머니가 갈바리아에서 함께 자리하신 것은, 예수를 성전에 봉헌할 때 성령이 시메온으로 하여금 예언하게 한 그대로, 하느님의 뜻을 따르는 데 있었다.


그때 시메온은 이렇게 예언하였었다: "이 아기는... 많은 사람들의 반대받는 표적이 되어... 당신의 마음은 예리한 칼에 찔리듯 아플 것입니다"(루가2,35).


 


복음서를 보면 우리는 마리아의 다른 고통들도 익히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마리아는 아들 예수를 낳을 때 큰 불편을 겪었다: "여관에는 그들이 머무를 방이 없었기 때문에 아기는 포대기에 싸서 말구유에 눕혔다"(루가2,7).


베들레헴의 아기 학살 사건이 있었다(마태2,16-18). 3일 동안이나 예수를 걱정하며 찾아다녔다(루가2,41-50).


나자렛 주민들이 아들 예수를 들고 일어나 동네밖으로 끌어냈고, 산 벼랑까지 끌고 가서 밀어 떨어뜨려 죽이려 하였다(루가4,28-30).


그 후 예루살렘의 율법 학자들로부터도 같은 곤욕을 치루셨다(루가11,53-54, 19,47-48 등등). 그 외에도 수난 기사들이 있다.


 


바오로 6세는 "마리아는 그리스도께서 성취하신 구원의 신비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계시며, 야훼의 고난받는 종의 어머니로서 고통을 당하셨다"고


마리아의 고통을 이사야 53장을 암시하면서 설명하셨다(마리알리스 꿀뚜스 7).


 



 


2. 마리아의 연민


마리아와 함께 십자가 밑에 서 있으려는 것이 옛 신자들의 기도이자, 기도의 이상적인 모델이었다.


4-5세기에 걸쳐서 살았던 "사막의 교부" 포에멘 원장은 오랜 탈혼에서 깨어난 뒤에 이렇게 혼자말을 하였다:


"내 영혼은 구세주의 십자가 밑에서 울고 계시는 천주의 모친 성 마리아와 함께 있었습니다.


나 역시 마리아 어머니와 함께 흐느껴 울고팠습니다."(APOTHEGMA 144).


 


4세기의 성 에프렘 시리아 사람은 예수의 십자가 밑에 서 계신 마리아의 애가를 썼는데, 이 마리아 애가는 성 토요일 저년 기도에서 지금도 불려지고 있다(시리아 전례).


500년경의 성 로마노 작곡가는 "십자가 밑에 서 계시는 마리아 찬가"를 썼는데,


이 찬미가 속에는 예수께서 당신 모친에게 고개를 돌려 십자가의 신비를 설명하신 것으로 표현되어 있다.


 


서방 교회의 대성인들도 마리아의 고통을 묵상하고 가르쳤는데, 그들 중에서도 성 암브로시오와 안셀모 그리고 베르나르도가 가장 돋보이는 인물들이다.


이 영성의 주제(통고)는 13세기에 이르러 아주 보편적이고 대중적으로 보급되었는데, 특히 프란치스코회 설교자들과 성모의 종 수도회들의 공로가 가장 크다.


이 시대의 성모 통고 신심을 알려 주는 좋은 시는 야꼬뽀네 다 또디(+1306)가 강렬한 슬픔을 표현한 "마돈나의 비애"가 있다:


 


오 아들아, 네 영혼이 널 떠났구나,


오 아들아, 기가 죽었구나,


오 아들아, 멀어져 가는구나,


오 아들아, 힘이 쇠하였구나!


오 아들아, 붉고 흰 피로 목욕하였구나.


오 아들아, 비할 데 없구나,


오 아들아, 난 누구에게 가야 하리?


오 아들아, 너는 날 떠났구나!


 


이러한 분위기는 중세기 성모 신심에서 가장 보편적인 것이었는데,


"십자가에 높이 달리신 성자 곁에서 그 모친 마리아도 함께 수난하였다"는 사상이 짙게 깔려 있는 성시이다.


이어서 나온 시가 저 유명한 "십자가길의 성모"(STABAT MATER)이다. 그리고 11세기에 나온 "그리스도의 생애 묵상"이란 책에서 보편화되어 알려진,


소위 "성모님의 발작설"은 서서히 사라졌고 또 교황과 신학자들도 이를 인정치 않았다.


 



 


3. 마리아의 통고


마리아 통고 신심은 14세기 초에 나타났다. 이런 신심을 크게 보급시킨 분은 아마도 헨리코 수소(1295-1366) 성인인 듯 하며,


이 밖에도 도미니코회 라인강 주변의 신비가들의 공로가 크다고 한다. 갈바리아의 중심 장면에서부터 수난 전체로 묵상을 확대하는 과정에서,


즉 예수님의 체포에서부터 장례 때까지를 묵상하던 중에 이 신심이 표면적으로 드러나게 되었다.


신비가들은 먼저 "마리아의 다섯 가지 기쁨"을 대중적인 신심으로 보급시킨 뒤, 성모님의 다섯 가지 고통 신심을 전파한 것으로 보이는데,


이것이 나중에는 성모 칠고로 발전되었다. 성모 칠고 묵상은 두 가지 형태가 있다.


 


마리아의 통고 내용은 예수님의 수난 내용과 같다. 예수의 수난이 곧 마리아의 수난이었다.


1. 예수, 체포되시고 매맞으으심을 묵상합시다.


2. 예수, 빌라도에게 끌려가 재판받으심을 묵상합시다.


3. 예수, 사형 선고 받으심을 묵상합시다.


4. 예수, 십자가에 못박히심을 묵상합시다.


5. 예수, 숨을 거두시고 십자가상에서 죽으심을 묵상합시다.


6. 예수, 십자가에서 내리움을 묵상합시다.


7. 예수, 베로 감아 무덤에 묻히심을 묵상합시다.


 


그러나 복음서 전체를 보아서 예수의 어린 시절이 포함된 "성모 칠고"도 있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시메온의 예언.


2. 무죄한 어린이들의 학살과 에집트 피신.


3. 예수, 예루살렘에서 잃어버리심.


4. 예수, 체포되시고 재판 받으심.


5. 예수, 십자가에 못박히시고 죽으심.


6. 예수, 십자가에서 내리움.


7. 예수, 베로 감아 무덤에 묻히심.


 


이 신심의 또다른 변형은 당신 아들이 생활하시고 활동하시다가 사형당하신 곳을 찾아보시는 "성모님의 생애"를 묵상하는 것이다.


이 신심은 야고보 데 보라지네의 "황금 전설’에 따른 것이다.


 


위의 두 가지 "성모 칠고" 신심은 14세기에서 보편화되었고, 또 수많은 묵상과 기도를 그리고 시들이 쏟아져 나와 이 신심을 더욱 고취 시켰다.


물론 성모 칠고를 그린 회화와 성상들도 제작되었는데 저 유명한 "피에타"는 곧 이 신심의 영향으로 제작된 것이라고 한다.


 


1464년초, 도미니꼬 회원인 앙렝이 "동정 마리아의 새로운 시편"(매일 성모송 150번 바치는 기도)을 전파하고 다닐 때,


그는 성모성 50번마다 우리 주님의 수난과 당신 모친의 통고 그리고 최후의 만찬부터 장례까지를 묵상의 주제로 추천하였다.


1475년에 쾰른에서 처음 생겨난 로사리오회는 "다섯 가지 통고"가 포함되어있는 15가지 신비 목록을 만들어 묵상토록 하였다.


위의 "다섯 가지 통고"는 게쎄마니의 비애, 매맞으심, 가시관을 쓰심, 십자가 지고 가심 그리고 십자가에서 죽으심이다.


 


1482년, 플란델의 교구 사제인 요한 드 쿠당베르그는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성모 칠고를 묵상하도록 가르쳤다:


1. 시메온의 예언(루가2,34-35).


2. 에집트로 피신하심(마태2,13-21)


3. 삼일 동안 예수를 잃으심(루가2,41-50).


4. 갈바리아로 오르심(요한19,17).


5. 예수, 십가에 못박히시고 죽으심(요한19,18-30).


6. 예수, 십자가에서 내리심(요한19,39-40).


7. 예수, 무덤에 묻히심(요한19,40-42).


이 신심은 오늘날 "성모 통고회"가 보전하고 있고, 또 교황의 승인도 받았다.


 



 


4. 영성


구세주 예수의 수난에 대한 성모 마리아의 동참은 성서 신학이 다시금 활력을 불어넣어 준 마리아 영성의 중요한 일면이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마리아를 "죄에 떨어진 원조에게 약속된 뱀에 대한 승리 속에 이미 예언적으로 그 여인의 모습이 암시되어 있는"(교회 55) 여인,


그리고 "시온의 훌륭한 딸"(교회 55)로 부르고 있으며, 바오로 6세께서는 주의 봉헌을 언급하시면서, 마리아를 "옛 이스라엘의 사명을 완수하신 분이자


하느님의 새로운 백성의 모델"(마리알리스 꿀뚜스 7)이라고 말하였다.


그러므로 갈바리아의 마리아는 "하느님의 일을 완수하신"(참조. 요한 19,30) 성자의 수난으로 그 마음은 예리한 칼에 찔리듯 아팠던 것이다.


그리고 마리아는 이스라엘과 교회 모두를 위해 "해산의 고통과 괴로움 때문에 울고 있었다"(묵시 12,2).


 


성서적인 이런 입장에서 보면, 마리아의 기쁨과 고통(신적 모성과 십자가의 고통)은 마리아와 교회에 대해 불가분의 성격을 띄는 것이다.


그러므로 9월 15일, 성모 통고의 전례는 사도 바오로의 다음 말씀을 상기시키는 중요한 신심이다:


"나는 여러분을 위하여 기꺼이 고통을 겪고 있습니다. 그리고 나는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를 위하여 그리스도의 남은 고난을 내 몸으로 채우고 있습니다"(골로 1,25).


 


그리고 성모 통고 축일의 본기도는 다음과 같다:


"십자가에 높이 달리신 당신 성자 곁에서 그 모친 마리아도 함께 수난하게 하신 천주여,


당신 교회로 하여금 성모와 함께 그리스도의 수난을 나눔으로써 그 부활에도 참여케 하소서. 성부와..."


 


-성바오로수도회에서 http://www.paolo.net


 



 


Mater Dolorosa - MEMLING, Hans.


1480s.Oil on wood, 55 x 33 cm.Galleria degli Uffizi, Florence


 


성모 마리아는 하느님의 어머니시라는 존엄한 지위에 계시니, 그 마음은 항상 환희에 가득 차 계실 것이라고 생각할지 모르나 이는 큰 오해이다.


참으로 그녀는 비애의 어머니라고 불릴만큼 여러 가지 극심한 고통을 당하셨다.


이는 원조 아담과 하와가 범죄를 저지른 이래 모든 인류의 죄악을 수난으로써 속죄하는 구세주의 대업을 이루시는 예수 그리스도께 어머니로서


또는 모든 여성의 대표로서 협조하시고 고통을 나누시는 것이 당연하고 또한 필요했기 때문이다.


 


성모의 고통을 기억하기 위해 교회에서는 1년에 두 차례의 기념일을 정했다.


즉 사순절 중 성지 주일 후 금요일과 9월 15일이 그때인 것이다.


각 교회에 열심한 신자의 실정이나 교회 역사를 살펴보더라도 많은 신자들은 성모의 고통을 특별히 공경하고 위로해 드렸다.


이런 의미에서 봉헌된 무수한 성당이며 또는 화가, 조각가, 시인들의 걸작을 보아도 알 수 있다.


이는 누구나가 일단 부모의 입장이 되면 그 자녀를 사랑하고 걱정하는 까닭에 슬퍼함은 면치 못하는 것으로


우리 모두 통고의 복되신 동정 마리아를 잘 공경하며 그 훌륭한 모양을 잘 따르고자 하는 것이다.


 


성 베르나르도는 슬퍼하시는 성모를 가리켜 "정신적 순교자"라 했다.


성모 마리아께서는 예수께서 악인들에게 매질을 당하시고 요구를 당하시고 조소를 받으시고 멸시를 받으시는 이 모든 것이 직접 당신이


당하시는 것보다 오히려 더 뼈아프게 느꼈고, 예수께서 십자가상에서 마지막 숨을 거두실 때에도 당신이 친히 죽는 것보다 더 했을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실제의 정신적 순교이다.


그러므로 성모께서 지금 천국에서 ’순교자의 모후’라는 존칭을 받고 있는 것은 당연한 일이라 하겠다.


 


우리는 마지막으로 야코포네 더 토디의 작품인 성모 통고사 중에서 그 한 구절을 배우며 애통하시는 성모님의 희생심을 따르기로 하자.


"어머니께 청하오니, 제 맘속에 주님 상처, 깊이 새겨 주소서."


 


 




 


 


♬7.Canto Gregoriano-SalveRegina[Solemne]


 


 


 


 


 


 


 


 


 


Beata Vergine Maria Addolorata
15 settembre - Memoria 


La memoria della Vergine Addolorata ci chiama a rivivere il momento decisivo della storia della salvezza e a venerare la Madre associata alla passione del figlio e vicina a lui innalzato sulla croce. La sua maternità assume sul calvario dimensioni universali. Questa memoria di origine devozionale fu introdotta nel calendario romano dal papa Pio VII (1814). (Mess. Rom.)


Etimologia: Maria = amata da Dio, dall'egiziano; signora, dall'ebraico
 
La Madonna è venerata nel mondo cristiano con un culto di iperdulia, che si estrinseca in vari titoli, quanti le sono stati attribuiti nei millenni per le sue virtù, il suo patrocinio, la sua posizione di creatura prediletta da Dio, per il posto primario occupato nel piano della Redenzione, per la sua continua presenza accanto all’uomo evidenziata anche dalle tante apparizioni.
Nel calendario delle celebrazioni mariane vi sono: 1° gennaio la B.V.M. Madre di Dio; 23 gennaio lo Sposalizio della B.V.M.; 2 febbraio la Presentazione al Tempio di Gesù e la Purificazione di Maria; 11 febbraio Beata Vergine di Lourdes; 25 marzo l’Annunciazione; 26 aprile B.V.M. del Buon Consiglio; 13 maggio Beata Vergine di Fatima; 24 maggio Madonna Ausiliatrice; 31 maggio Visitazione di M.V.; a giugno Cuore Immacolato di Maria; 2 luglio Madonna delle Grazie; 16 luglio B.V. del Carmelo; 5 agosto Madonna della Neve; 15 agosto Assunzione della Vergine; 22 agosto B.V.M. Regina; 8 settembre Natività di Maria; 12 settembre SS Nome di Maria; 15 settembre B. V. Addolorata; 19 settembre B. V. de La Salette; 24 settembre B.V. della Mercede; 7 ottobre B.V. del Rosario, 21 novembre Presentazione della B.V.M.; 8 dicembre Immacolata Concezione, 10 dicembre B. V. M. di Loreto.
Inoltre l’intero mese di Maggio è dedicato alla Madonna, senza dimenticare la suggestiva e devota Novena dell’Immacolata, poi vi sono le celebrazioni locali per i tantissimi Santuari Mariani esistenti; come si vede la Vergine ha un culto così diffuso, che non c’è mese dell’anno in cui non la si ricordi e veneri.
A mio parere però, fra i tanti titoli e celebrazioni, il più sentito perché più vicino alla realtà umana, è quello di Beata Vergine Maria Addolorata; il dolore è presente nella nostra vita sin dalla nascita, con il primo angosciato grido del neonato, che lascia il sicuro del grembo materno per proiettarsi in un mondo sconosciuto, non più legato alla madre e in preda alla paura e spavento; poi il dolore ci segue più o meno intenso, più o meno costante, nei suoi vari aspetti, fisici, morali, spirituali, lungo il corso della vita, per ritrovarlo comunque al termine del nostro cammino, per l’ultimo e definitivo distacco da questo mondo.
E il dolore di Maria, creatura privilegiata sì, ma sempre creatura come noi, è più facile comprenderlo, perché lo subiamo anche noi, seppure in condizioni e gradi diversi, al contrario delle altre prerogative che sono solo sue, Annunciazione, Maternità divina, Immacolata Concezione, Assunzione al Cielo, Apparizioni, ecc. le quali da parte nostra richiedono un atto di fede per considerarle.
Veder morire un figlio è per una madre il dolore più grande che ci sia, non vi sono parole che possano consolare, chi naturalmente aspettando di poter morire dopo aver generato, allevato ed educato, l’erede e il continuatore della sua umanità, vede invece morire il figlio mentre lei resta ancora in vita, quel figlio al quale avrebbe voluto ridare altre cento volte la vita e magari sostituirsi ad esso nel morire.
I milioni di madri che nel tempo hanno subito questo immenso dolore, a lei si sono rivolte per trovare sostegno e consolazione, perché Maria ha visto morire il Figlio in modo atroce, consapevole della sua innocenza, soffrendo per la cattiveria, incomprensione, malvagità, scatenate contro di lui, personificazione della Bontà infinita.
Ma non fu solo per la repentina condanna a morte, il dolore provato da Maria fu l’epilogo di un lungo soffrire, in silenzio e senza sfogo, conservato nel suo cuore, iniziato da quella profezia del vecchio Simeone pronunziata durante la Presentazione di Gesù al Tempio: “E anche a te una spada trapasserà l’anima”.
Quindi anche tutti coloro che soffrono nella propria carne e nel proprio animo, le pene derivanti da malattie, disabilità, ingiustizia, povertà, persecuzione, violenza fisica e mentale, perdita di persone care, tradimenti, mancanza di sicurezza, solitudine, ecc. guardano a Maria, consolatrice di tutti i dolori; perché avendo sofferto tanto già prima della Passione di Cristo, può essere il faro a cui guardare nel sopportare le nostre sofferenze ed essere comprensivi di quelle dei nostri fratelli, compagni di viaggio in questo nostro pellegrinare terreno.
Ma la Madonna è anche corredentrice per Grazia del genere umano, perché partecipe dell’umanità sofferente ed offerta del Cristo, per questo lei non si è ribellata come madre alla sorte tragica del Figlio, l’ha sofferta indicibilmente ma l’ha anche offerta a Dio per la Redenzione dell’umanità.
E come dalla Passione, Morte e Sepoltura di Gesù, si è passato alla trionfale e salvifica Resurrezione, anche Maria, cooperatrice nella Redenzione, ha gioito di questa immensa consolazione e quindi maggiormente è la più adatta ad indicarci la via della salvezza e della gioia, attraversando il crogiolo della sofferenza in tutte le sue espressioni, della quale comunque non potremo liberarci perché retaggio del peccato originale.


CULTO


La devozione alla Madonna Addolorata, che trae origine dai passi del Vangelo, dove si parla della presenza di Maria Vergine sul Calvario, prese particolare consistenza a partire dalla fine dell’XI secolo e fu anticipatrice della celebrazione liturgica, istituita più tardi.
Il “Liber de passione Christi et dolore et planctu Matris eius” di ignoto (erroneamente attribuito a s. Bernardo), costituisce l’inizio di una letteratura, che porta alla composizione in varie lingue del “Pianto della Vergine”.
Testimonianza di questa devozione è il popolarissimo ‘Stabat Mater’ in latino, attribuito a Jacopone da Todi, il quale compose in lingua volgare anche le famose ‘Laudi’; da questa devozione ebbe origine la festa dei “Sette Dolori di Maria SS.” Nel secolo XV si ebbero le prime celebrazioni liturgiche sulla “compassione di Maria” ai piedi della Croce, collocate nel tempo di Passione.
A metà del secolo XIII, nel 1233, sorse a Firenze l’Ordine dei frati “Servi di Maria”, fondato dai Ss. Sette Fondatori e ispirato dalla Vergine. L’Ordine che già nel nome si qualificava per la devozione alla Madre di Dio, si distinse nei secoli per l’intensa venerazione e la diffusione del culto dell’Addolorata; il 9 giugno del 1668, la S. Congregazione dei Riti permetteva all’Ordine di celebrare la Messa votiva dei sette Dolori della Beata Vergine, facendo menzione nel decreto che i Frati dei Servi, portavano l’abito nero in memoria della vedovanza di Maria e dei dolori che essa sostenne nella passione del Figlio.
Successivamente, papa Innocenzo XII, il 9 agosto 1692 autorizzò la celebrazione dei Sette Dolori della Beata Vergine la terza domenica di settembre.
Ma la celebrazione ebbe ancora delle tappe, man mano che il culto si diffondeva; il 18 agosto 1714 la Sacra Congregazione approvò una celebrazione dei Sette Dolori di Maria, il venerdì precedente la Domenica delle Palme e papa Pio VII, il 18 settembre 1814 estese la festa liturgica della terza domenica di settembre a tutta la Chiesa, con inserimento nel calendario romano.
Infine papa Pio X (1904-1914), fissò la data definitiva del 15 settembre, subito dopo la celebrazione dell’Esaltazione della Croce (14 settembre), con memoria non più dei “Sette Dolori”, ma più opportunamente come “Beata Vergine Maria Addolorata”.


Le devozioni
I Sette Dolori di Maria, corrispondono ad altrettanti episodi narrati nel Vangelo: 1) La profezia dell’anziano Simeone, quando Gesù fu portato al Tempio “E anche a te una spada trafiggerà l’anima”. – 2) La Sacra Famiglia è costretta a fuggire in Egitto “Giuseppe destatosi, prese con sé il Bambino e sua madre nella notte e fuggì in Egitto”. – 3) Il ritrovamento di Gesù dodicenne nel Tempio a Gerusalemme “Tuo padre ed io angosciati ti cercavamo”. – 4) Maria addolorata, incontra Gesù che porta la croce sulla via del Calvario. – 5) La Madonna ai piedi della Croce in piena adesione alla volontà di Dio, partecipa alle sofferenze del Figlio crocifisso e morente. – 6) Maria accoglie tra le sue braccia il Figlio morto deposto dalla Croce. – 7) Maria affida al sepolcro il corpo di Gesù, in attesa della risurrezione.
La liturgia e la devozione hanno compilato anche le Litanie dell’Addolorata, ove la Vergine è implorata in tutte le necessità, riconoscendole tutti i titoli e meriti della sua personale sofferenza.
La tradizione popolare ha identificato la meditazione dei Sette Dolori, nella pia pratica della ‘Via Matris’, che al pari della Via Crucis, ripercorre le tappe storiche delle sofferenze di Maria e sempre più numerosi sorgono questi itinerari penitenziali, specie in prossimità di Santuari Mariani, rappresentati con sculture, ceramiche, gruppi lignei, affreschi.
Le processioni penitenziali, tipiche del periodo della Passione di Cristo, comprendono anche la figura della Madre dolorosa che segue il Figlio morto, l’incontro sulla salita del Calvario, Maria posta ai piedi del Crocifisso; in certi Comuni le processioni devozionali, assumono l’aspetto di vere e proprie rappresentazioni altamente suggestive, specie quelle dell’incontro tra il simulacro di Maria vestita a lutto e addolorata e quello di Gesù che trasporta la Croce tutto insanguinato e sofferente.
In certe località queste processioni, che nel Medioevo diedero luogo anche a rappresentazioni sacre dette “Misteri”, assumono un’imponenza di partecipazione popolare, da costituire oggi un’attrattiva oltre che devozionale e penitenziale, anche turistica e folcloristica, cito per tutte la grande processione barocca di Siviglia.


Le espressioni artistiche
Al testo del celebre “Stabat Mater”, si sono ispirati musicisti di ogni epoca; tra i più illustri figurano Palestrina, Pergolesi, Rossini, Verdi, Dvorak.
La Vergine Addolorata è stata raffigurata lungo i secoli in tante espressioni dell’arte, specie pittura e scultura, frutto dell’opera dei più grandi artisti che secondo il proprio estro, hanno voluto esprimere in primo luogo la grande sofferenza di Maria.
La vergine Addolorata è di solito vestita di nero per la perdita del Figlio, con una spada o con sette spade che le trafiggono il cuore.
Altro soggetto molto rappresentato è la Pietà, penultimo atto della Passione, che sta fra la deposizione e la sepoltura di Gesù. Il termine ‘Pietà’ sta ad indicare nell’arte, la raffigurazione dei due personaggi principali Maria e Gesù, la madre e il figlio; Maria lo sorregge adagiato sulle sue ginocchia, oppure sul bordo del sepolcro insieme a s. Giovanni apostolo (Michelangelo e Giovanni Bellini). Capolavoro dell’intensità del dolore dei presenti, è il ‘Compianto sul Cristo morto’ di Giotto.
Nel Santuario dell’Addolorata di Castelpetroso (Isernia), secondo l’apparizione del 1888, Gesù è adagiato a terra e Maria sta in ginocchio accanto a lui e con le braccia aperte lo piange e lo offre nello stesso tempo.


In virtù del culto così diffuso all’Addolorata, ogni città e ogni paese ha una chiesa o cappella a lei dedicata; varie Confraternite assistenziali e penitenziali, come pure numerose Congregazioni religiose femminili e alcune maschili, sono poste sotto il nome dell’Addolorata, specie se collegate all’antico Ordine dei Servi di Maria.
L’amore e la venerazione per la Consolatrice degli afflitti e per la sua ‘compassione’, ha prodotto, specie nell’Ordine dei Servi splendide figure di santi, ne citiamo alcuni: I Santi Sette Fondatori, s. Giuliana Falconieri, s. Filippo Benizi, s. Pellegrino Laziosi, s. Antonio Maria Pucci, s. Gabriele dell’Addolorata (passionista), senza dimenticare, primo fra tutti, s. Giovanni apostolo ed evangelista, sempre accanto a lei per confortarla e condividerne l’indicibile dolore, accompagnandola fino al termine della sua vita.


Il nome Addolorata ebbe larga diffusione nell’Italia Meridionale, ma per l’evidente significato, ora c’è la tendenza a sostituirlo con il suo derivato spagnolo Dolores.
Autore: Antonio Borrelli
_______________________
Aggiunto il 4-Jun-2005
Letto da 9047 person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성이름 날짜 조회 수
716 프란치스칸 성인 9월17일 성프란치스꼬의 거룩한 상흔 축일 안젤라 2009-09-11 4484
715 프란치스칸 성인 경남지구 양성위원회 운영지침 file [1] 요셉 2009-09-13 2893
714 프란치스칸 성인 9월18일 코페르티노의 성 요셉(1회) 안젤라 2009-09-19 25861
713 프란치스칸 성인 9월18일 성녀 소피아와 성녀 이레네 순교자 안젤라 2009-09-19 9447
712 프란치스칸 성인 9월19일 성 야누아리오 주교 순교자 안젤라 2009-09-19 5483
711 프란치스칸 성인 9월20일 캄포로쏘의 성 프란치스코 마리아(1회) 안젤라 2009-09-19 4283
710 프란치스칸 성인 9월20일 성 안드레아김대건과 성 바울로정하상과 동료순교자 대축일 안젤라 2009-09-19 4286
709 프란치스칸 성인 9월21일 성 마태오 사도 복음 사가 안젤라 2009-09-19 5674
708 프란치스칸 성인 9월22일 성 마우리시오 순교자 안젤라 2009-09-20 11258
707 프란치스칸 성인 9월23일 성 리노 교황 순교자 안젤라 2009-09-20 4675
706 프란치스칸 성인 9월23일 성녀 테끌라 동정 순교자 안젤라 2009-09-20 15755
705 프란치스칸 성인 9월23일 피에트렐치나의 성 비오 사제(1회) 안젤라 2009-09-20 3879
704 프란치스칸 성인 9월23일 성녀 글라라의 유해 발견(성글라라수도회의 성녀와 복녀축일표) 안젤라 2009-09-23 11742
703 프란치스칸 성인 9월24일 메르체데의 성모마리아 안젤라 2009-09-23 4412
702 프란치스칸 성인 9월24일 성 제라르도 사그레도 안젤라 2009-09-23 3547
701 프란치스칸 성인 9월24일 산 세베리노의 성 파치피코(1회) 안젤라 2009-09-23 3514
700 프란치스칸 성인 9월25일 성녀 아우렐리아와 성녀 네오미시아 안젤라 2009-09-23 5258
699 프란치스칸 성인 9월25일 성 알베르토 주교 안젤라 2009-09-23 5051
698 프란치스칸 성인 9월25일 성 세르지오(세르게이) 안젤라 2009-09-23 5868
697 프란치스칸 성인 9월26일 안티오키아의 성 치프리아노와 성녀 유스티나 순교자 안젤라 2009-09-23 4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