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lider01 slider02 slider03 slider04
프란치스칸 성인/성지








 


St Augustine-FOPPA, Vincenzo


1465-70. Wood panel. Castello Sforzesco, Milan


 


축일: 8월28일


성 아우구스티노 주교 학자


St. Aurelius Augustinus


St. Augustine of Hippo, Bishop and Theologian


Sant’ Agostino Vescovo e dottore della Chiesa


Born:13 November 354 at Tagaste, Numidia, North Africa (Souk-Ahras, Algeria) as Aurelius Augustinus


Died:28 August 430 at Hippo


Canonized: Pre-Congregation


Agostino = piccolo venerabile, dal latino = small venerable person, from the Latin
Doctor of Grace


 


 



 


Vision of St Augustin (detail)-CARPACCIO, Vittore


1502.Tempera on canvas.Scuola di San Giorgio degli Schiavoni, Venice


 


서양 사상사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한 인물이며 그의 사상적 업적은 이루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록 지대하다.


하지만 성인의 젊은 시절은 충분히 세인의 상상을 불러 일으킬만 하다.


그러나 그가 회개한이후로는 참회자들의 모범과 신앙의 변호자로


그리고 탁월한 사목자와 신비가로 여생을 보낸 것만은 확실하다.


 


영성적인 측면에서 볼 때 그의 생애는 사도 성 바울로의 말씀처럼


죄를 통하여 하느님의 사랑을 깊게 체험한 인간의 적나라한 모습을 생생하게 드러내고 있다.


 



 


전통적으로 그를 은총의 박사(Doctor gratiae)로 불러 왔다.


이는 무엇보다도 그가 은총의 필요성을 변호하고 강조하였기 때문이다.


 


그에게 있어서 기도는 이성적 존재인 인간이


하느님의 완전성과 무한성을 인식할때 할 수 있는 최고의 방법이었으니


그것은 바로 하느님을 흠숭하고 그분께 찬미와 감사를 드리며 그분 안에서 즐기는(frui) 것이었다


 


아우구스띠노는 354년 북 아프리카의 타가스테(현제 알제리와 튀니지의 국경)에서


로마 제국의 말단 관리였던 아버지 파트리치우스(Patricius)와 어머니 모니카(Monica)사이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죽기 얼마 전까지도 외교인으로 살았으나 어머니는 열심한 그리스도인으로 일생을 보냈으며


아우구스띠노가 마니교에 빠졌을 때나 방탕한 생활을 할 때에도


아들의 신앙생활에 늘 관심을 가지고  격려와 충고를 아끼지 않았다.


 


* 성녀 모니카 축일:8월27일. 게시판606번,1335번.


 



 


그는 어릴 때부터 신앙교육을 받으면서 성장하였다.


비록 세례는 받지 못했으나 그가 얻은 기도의 체험은 어린 아이로는 대단히 큰 것이었다.


그는 어머니로부터 기도하는 법을 배워 어려운 일이 일어날 때마다 기도를 드리곤 하였다.


어느날 배가 몹시 아파 죽을 지경에 이르렀을 때 기도를 하고 나자 갑자기 나은 적이 있었다.


학교에 다닐 때에는 평범한 학생으로서 겁이 많았기에 선생님께 매를 맞지 않게 해달라고 기도하기도 하였다.


청소년기부터 다소 방탕한 생활에 빠지기도 하였으나


그래도 한 때는 정결을 지킬 수 있도록 절제의 덕을 청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그 때의 기도는 혼신의 정을 다 바쳐 의지를 움직일만한 강렬한 기도는 아니었다.


마치 사도들이 스승과 함께 한 시간 동안 깨어있기를 원했으나


그들의 몸이 말을 듣지 않았던 그런 경우와 비슷하였을 것이다.


그러므로 그는 절제의 생활이 먼 훗 날에 오기를 은근히 기대하고 있었는지도 모른다.


그 후 다소 쾌락을 찾는 생활과 마니교 사상에 빠져 기도와는 거리가 먼 생활을 하다가


삼십 대 초반에 이르러 세례성사를 준비하던 중 이앓이를 심하게 하고 있었는데


"건강의 임자이신 주님께" 간절히 기도를 드렸더니 즉시 나은 일이 있어


그는 기도의 효과를 이런 식으로 실감나게 체험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그에게 있어서 가장 큰 기도 체험은 바로 자신의 회개였다.


그는 자기 회개의 은혜를 어머니 모니카에게 돌리고 있었다.


왜냐하면 어머니는 아들의 회개를 위하여


전능하시고 자비하신 하느님께 끊임없이 청원을 드리고 있었기 때문이다.


(성 아우구스띠노 수도회홈에서 www.osakorea.or.kr)


 



 


Baptism of St Augustine (scene 11, east wall)-GOZZOLI, Benozzo


1464-65,Fresco, 220 x 230 cm,Apsidal chapel, Sant’Agostino, San Gimignano


 


교회의 위대한 교부이며 영성가인 성 아우구스티노는 354년 북아프리카 타가스테에서 태어났다.


젊은이로서 사상에서나 윤리적 행위에서나 명예와 쾌락만을 추구하고  


 


불안정한 생활과 마니교에 빠져 있었으나


어머니 모니카의 기도와 희생, 성 암브로시오 주교의 도움으로 회개, 387년 세례를 받았다.


본국에 돌아와 금욕 생활을 했다.


 


서른 일곱살에 사제로 추대되었고, 5년 후에는 히포의 주교로 서품되었다.


33년 동안 양 떼의 모범이 되고 강론과 저술로써 그들을 가르쳤다.


그 당시의 오류를 거슬러 용감히 싸웠고 올바른 신앙을 대가답게 전해 주었다.


72세에 선종하기까지 호교론과 신학, 철학에 많은 저서를 남겼다.


 


그는 틈나는 데로 글을 썼으며 그의 위대한 업적 중의 하나로는 [고백록], [신국]의 저술이다.


"은총의 박사"라고도 불리우는 그는 교회의 가장 위대한 교부이자 박사이며 영성가이다.


 


*성 암브로시오 주교 학자(340?-397)축일:12월7일,게시판790번, 1509번.


http://home.catholic.or.kr/gnbbs/ncbbs.dll/chinchang


 



 


 


아우렐리오 아우구스티노


(Aurelius Augustinus354-430) 성인.


 


히포의 주교. 교회학자. 축일 8.28일. 북아프 리카 타가스테 출신


모친 성녀 모니카가 그리스도교 신자였으므로 그는 신앙의 분위기에서 성장,


카르타고대학 에서 수사학을 공부했는데 이 당시 그리스도교를 떠나 정신적 방황을 하였다.


15년간 지속된 방탕생활에서 아데오다투스라는 아들을 보게 되었다.


 


치체로의 를 읽고 감명받았으며(373년), 마니교를 통해 진리를 얻으려고 9년 간이나 시도,


383년에는 수사학 교사로 로마에 갔다.


 



 


이듬해 밀라노로 이주, 성 암브로시오와의 해후로, 그의 영향, 신플라톤주의,


그리고 성 바울로에 대한 독서를 통해 개종을 결심,


카시치아쿰에서의 침잠 후 387년 부활 전야에 세례받았다.


388년 타가스테에 일종의 수도원을 세우고 유명한 성 아우구스티노 수도규칙을 만들었다.


 


391년 고향의 연로한 주교 발레리우스에게서 서품, 수도원 생활을 계속하였으나


곧 아프리카 교회문제의 중요인물이 되어


395년 발레리우스의 보좌주교를, 396년부터 사망 때까지는 그 곳 주교를 지냈다.


 


그의 탁월성은 그리스도교 진리에 대한 날카로운 이해에 있다.


사제기간 중 크게 3가지의 이단 즉, Donatus 이단, Pelagius 이단, Manichaeism 문제와 대결,


이를 통해 자신의 신학을 형성하였다.


 


교회와 성사, 성사적 은총 등의 문제와 관련된 교의를 획기적으로 발전시켜


이를 통해 서양 신학이 형성되었다.


그에 의하면, 교회는 구성원들의 상호 자선행위를 통해 하나를 이루며


그 구성원 때문이 아니라 목적에 의해 신성하다.


 


교회 안에는 선한 자와 악한 자가 모두 있으며 최후의 심판 때까지 악한 자는 남아 있을 것이다.


교회 밖에도 선한 이들이 있지만 죽기전에 교회 안으로 들어오지 않으면 구원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또한 성사의 집행에 있어서의 `합법성’과 `규칙’사이의 구분을 발전시켰다.


속권을 신국의 일부로 받아들이나 그것은 진정한 신에 대한 숭배와 정의에 기초를 두고 있는 한에 있어서이며,


이단과 분열을 극복하기 위하여 국가의 조력을 인정하나 사형제는 간곡히 금하였다.


 



 


후기에는 펠라지오주의 논쟁에 종사, 타락과 원죄, 그리고 예정설에 대한 교의를 발전시켰는데


특히 예정설은 말기의 저서에서 형식을 갖추어


뒷날에 루터·칼빈을 비롯한 종교개혁가에게 영향을 주었다.


 


이단과의 논쟁 을 통한 저서외에 <고백록>과 <신국론> 등의 대작이 남아있는데,


전자는 개종까지의 자서전이며,


후자는 로마가 알라릭에 의해 함락(410년)된 이후에 씌어진 최초의 역사철학서이다.


 


방대한 <삼위일체에 관하여>와 자신의 문학작품을 정리한 등도 전하고 있다.


후대 철학에 대한 성 아우구스티노의 영향을 실로 지대하여서


중세기부터 13세기에 이르는 철학의 전 내용과 성야 신학의 현재의 모습을 결정 짓게 하였다.


(가톨릭대사전에서)


 



 


St Augustine Washing the Feet of Christ - STROZZI, Bernardo


1629.Oil on canvas, 310 x 200 cm.Accademia Ligustica di Belle Arti, Genoa


 


성 아우구스띠노 주교의 (고백록)에서


(Lib. 7,10.18; 10,27: CSEL 33,157-163.255)


 


오, 영원한 진리여, 참스런 사랑이여, 사랑스런 영원이여


 


거기로부터 내 자신으로 돌아오라는 타이르심에 당신의 이끄심 따라 나의 가장 안으로 들어 왔삽고,


그리 될 수 있삽기는 당신이 나를 도와주신 때문이었습니다.


들어오고 나서 나는 무엇인지 모를 눈으로 영혼의 정신이 미치지 못하는 상주 불변의 빛을 보았습니다.


예사롭지 않고, 육안에 비쳐지지도 않는 이 빛은,


질은 같아도 크기가 더하여서 그만치 밝기 를 더하고 모든 것을 비추는 따위의 그러한 빛이 아니었습니다.


그런 따위가 아닌 색다르고, 딴 모든 것과 아주 다른 빛이었습니다.


그것은 물 위의 기름이나 땅 위의 하늘같이 내 영혼 위에 있는 것이 아니오나


나를 만들었기에 내 위이고, 나는 그의 지음을 받았기에 그 아래였습니다.


 



 


무릇 진리를 아는 이 그를 알고, 그를 아는 이 영혼을 알며, 그를 아는 것은 곧 사랑이로소이다.


오, 영원한 진리여, 참스런 사랑이여, 사랑스런 영원이여,


그대 내 하느님이시니 그대를 향해 밤낮으로 한숨짓노라.


내 처음 그대를 알았을 때 그대 나를 맞아들여, 내가 볼 것이 무엇인지,


그러나 나는 아직 볼 자격이 없는 것을 보여 주었나니 .....


아찔하도록 쇠약한 내 안광에 세찬 빛을 쏘아주었기 난 사랑과 두려움에 떨고 있었노라.


마치도 하늘로 부터 "나는 장성한 자의 음식이로라. 너는 커라. 이에 나를 맛보리라.


내 육체의 음식처럼 나를 네게 동화시키지 말라. 오히려 너를 내게 동화시킬 것이니라."


하는 그대의 목소리를 듣는 듯 나는 얼마나 그대와는 멀리 등차의 세계에 있는지를 발견했노라.


 


당신을 누리기에 알맞은 힘을 기르고자 방법을 모색하여 보았으나


"하느님과 사람 사이의 중재 자, 만물 위에 계시어 세세에 찬미를 받으실


하느님이신 인간 예수 그리스도"를 받들어 모시기까지는 얻을 수 없었나이다.


스스로를 가리켜 "나는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로라." 부르신 그분께서 - 말씀이 살이 되심으로써 -


(나는 아직 허약하며 먹지 못할 몸이었으나) 음식을 살에 섞으셨으니


갓난이 우리에게 당신 슬기의 젖을 먹이시기 위함이었고,


실상 그 슬기로써 당신은 이미 만물을 창조하신 것이었나이다.


 



 


늦게야 님을 사랑했습니다.


이렇듯 오랜, 이렇듯 새로운 아름다움이시여,


늦게야 당신을 사랑했삽나이다.


내 안에 님이 계시거늘


나는 밖에서,


나 밖에서 님을 찾아


당신의 아리따운 피조물 속으로 더러운 몸을 쑤셔 넣었사오니!


님은 나와 같이 계시건만


나는 님과 같이 아니 있었나이다.


당신 안에 있잖으면 존재조차 없을 것들이


이 몸을 붙들고 님에게서 멀리했나이다.


부르시고 지르시는 소리로


절벽이던 내 귀를 트이시고,


비추시고 밝히시사 눈 멀음을 쫓으시니,


향 내음 풍기실 제 나는 맡고 님 그리며,


님 한 번 맛본뒤로 기갈 더욱 느끼옵고,


님이 한 번 만지시매


위 없는 기쁨에 마음이 살라지나이다. (고백록’10권 27장)


 



 


*고백록:


죄악의 심연을 거쳐 구원에 도달한 성인 아우구스티누스의 눈물겨운 체험을 수록한 자서전.


그리스도교 문학과 사상의 금자탑인 이 책은, 한국에서 최초로 라틴어를 우리말로 옮긴 불후의 명작이다.


 



 


St Augustine - JOOS van Wassenhove.


c.1474.Oil on wood,119 x 62 cm.Musee du Louvre, Paris


 


아우구스티노는 33세에 그리스도인이 되고 36세에 사제가 되고 41세에 주교가 되었다.


죄인에서 성인이 된 히포의 주교 아우구스티노에 대해 단편적인 전기는 모든 이가 잘 알고 있다.


그러나 진실로 한 사람을 안다는 것을 매우 가치 있는 일이다.


그의 길이 하느님께로 향한 것이든 그렇지 않든 간에


그는 자신의 삶을 사는 데 아주 열심이었던 것은 명백한 일이다.


 


어머니의 눈물, 암브로시오의 교육 그리고 성서안에서


그에게 말씀하시는 하느님 그 모든 것이 아우구스티노의 삶을 사랑의 삶으로 바꾸었다.


 


"제가 당신을 사랑하는 것이 너무도 늦었습니다.


오! 옛날부터 항상 계시옵고 항상 새로우신 아름다움이여!"


 


어린 시절에 인간의 향락 생활에 너무 깊이 빠져들었고,


한창 때에는 인생의 쓴맛,단맛을 다 맛보았기 때문에 맹렬한 악마의 공격에 대항해서


성스러운 열정을 가지고 개종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다.


그가 살던 시대는 진실로 정치적,사회적,도덕적으로 퇴폐했었다.


 



 


그는 마치 그리스도처럼 비난과 사랑을 받았다.


그에 대한 끊이지 않는 비난은 근본적인 엄격주의였다.


한창때에 그는 섭리에 의해 예언자의 임무를 수행했다.


예레미야나 다른 위인들과 같이 그는 궁지에 몰렸으나 침묵할 수 없었다.


 



 


"’다시는 주의 이름을 입밖에 내지 말자.


주의 이름으로 하던 말을 이제는 그만두자’고 하여도


뼛속에 갇혀 있는 주의 말씀이 심장 속에서 불처럼 타올라 견디다 못해 저는 손을 들고 맙니다."


(예레 20,9)


 


 



 


 


아우구스티노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갈채와 비난을 동시에 받고 있다.


(칼 메닝거,’무엇이 죄가 되는가’참조)


 


그는 예언자이다.


인간적 책임과 존엄성에 직면하여 도피주의를 버릴 필요를 알리는 오늘날의 예언자이다.


 



 


The Triumph of St Augustine-COELLO, Claudio


1664.Oil on canvas, 271 x 203 cm.Museo del Prado, Madrid


 


"사람의 아들은 잃어버린 사람을 찾아 구원하러 왔습니다"(마태 18, 11).


"너희는 가서 ’내가 바라는 것은 동물을 잡아 나에게 바치는 제사가 아니라


이웃에게 베푸는 자선이다.’하신 말씀이 무슨 뜻인가를 배워라.


나는 선한 사람을 부르러 온 것이 아니라 죄인을 부르러 왔다"(마태 9,13).


 


우리 같은 죄인들에게 가장 위로가 되는 이 성서 말씀의 실례(實例),


즉 많은 죄를 범하고 타락의 구렁에 빠졌다가 회개해 선량한 신자가 되고,


또는 더 많은 덕을 쌓아 성인이 된 예는 역사상에 자주 나타난다.


 


이는 바로 은총의 빛나는 승리인데,


그 중에서도 대 성인 아우구스티노는 그 유명한 참회록(고해록)으로써 세상에 널이 알려진 분이다.


이와 같이 주님의 풍성한 은총의 힘으로 죄악에서 성덕으로,


어둠에서 광명으로 놀라울 만한 대전환을 이룬 실례로,


어떠한 죄인이라도 결심 여하에 따라 멸망에서 소생되어 광명의 아들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우리에게 주고도 남음이 있다.


 



 


아우구스티노는 354년 11월 13일, 북 아프리카의 소도기 타가스테에서 태어났다.


그 당시 가톨릭은 세력을 얻어 로마의 국교로 인정되었으나 아직도 미신자들이 무수히 많이 있는 때였다.


아우구스티노의 아버지 파트리치오는 이교도인으로 성질이 매우 급하고,


명예 재산 등 현세적 사물에만 흥미를 느끼고 있는 사람이었다.


그러나 그의 어머니 모니카는 꾸준한 성격이요,독실한 천주교 신자로서


그 아들이 아버지의 악덕에 물들까 염려해 항상 기도하고 그를 타일러 주었으나,


선보다 악에 기울어지기 쉬움은 인간의 상정(常情)인지라,


 


어머니의 엄격한 권고도 아무런 보람없이 아우구스티노는 아버지를 따라 타락의 길로 떨어지고 말았다.


타고난 지혜와 재능이 출중함은 본 아버지는 대단히 기뻐하며


그 자식을 장래에 큰 웅변가로 출세시키고자 더욱 세속적 사물에만 정신을 기울이게 했다.


 



 


St Jerome and St Augustine - CRIVELLI, Carlo


c. 1490.Tempera on wood, 187 x 72 cm. Gallerie dell’Accademia, Venice


 


그래서 아우구스티노는 자신의 재능에 대한 자만심이 강해져 더욱 방탕한 생활에 빠졌고,


그 결과 16세에 한 여인과 함께 생활하여 아데오다토라는 사생아까지 낳게 되었다.


이러한 자식의 방탕을 본 아버지는 비로소 자기의 비행을 깨닫고 후회하며


또 아내의 눈물어린 기도와 희생을 보고 감동하여, 세례를 받고 곧 세상을 떠났으나,


아우구스티노는 아버지의 유언과 어머니의 탄식도 본체 만체


오로지 명예와 쾌락만을 추구하며 방탕한 생활에서 회개하는 고사하고,


373년경 오히려 이원론(二元論)인 마니교까지 믿어 점점 더 이단에 빠지고 마는 것이었다.


 


그러면서 그가 카르타고 대학의 수사학 교수로 있기를 9년,


그동안 마니교 연구를 계속했으나 역시 양심의 가책과 심중의 불안은 면할 길이 없었다.


거기에다 가장 친한 친구가 불의의 죽음을 당하자


생사의 문제에 대해서 심각한 의혹을 품게 되어 더욱 번민은 심해졌다.


 


마침내 아우구스티노는 가슴에 가득 찬 그 번민을 흩어버리기 위해 어머니를 속이고 로마로 향했다.


그 불효의 천벌은 곧 내려졌으니, 그는 383년경 그곳에서 그의 유일한 수사학을 강의했고,


많은 학생들은 그의 풍문을 듣고 와서 배웠으나 학비를 내는 자는 극소수에 불과했다.


그는 이러한 자기 학생들의 태도 때문에 크게 실망하여 다른 곳에 직장을 구하고자


로마 시장인 시마코의 알선으로 밀라노로 가서 그곳에서도 역시 교수 생활을 했다.


그 소식을 들은 모니카는 멀리 아들을 찾아 카르타고에서 밀라노까지 왔다.


 



 


당시의 밀라노의 주교는 너무나 유명한 암브로시오 성인이었다.


아우구스티노는 그 주교가 매우 유명한 웅변가라른 소문을 듣고 그의 강론을 자주 들으러 갔다.


처음 동기는 단지 호기심에 불과했으나 차차 열렬한 진리의 탐구욕으로 변했다.


그러는 동안 암브로시오는 모니카를 알게 되었고 이런 어머니를 모신 그 아들은 매우 행복하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어머니가 아들의 영혼 구원을 탄식하여 눈물로써 호소할 때는 "안심하십시오,


눈물의 아들은 결코 멸망하지 않습니다"고 하며 위로까지 해 줄 정도였다.


 


그 말씀은 틀림없이 적중되었다. 386년의 가을이었다.


아프리카에서 그와 동향인 푼시아노라는 사람이 찾아와 리비아에 사는 은수자들,


특히 성 안토니오에 대해 그 성스러운 극기 수도의 생활 상태를 이야기했다.


그때 아우구스티노는 그의 친구인 아피리오에 관한 이야기도 들었는데,


다 듣고 나서는 감격하여 일어서서 "아! 우리는 얼마나 한심한 인간들이냐?


무식한 자들은 온힘을 다해 천국을 차지하려고 애를 쓰고 있는데 학문이 있다는 우리가


육욕의 노예가 되어 있다니, 이 무슨 꼴이냐? 부끄러운 일이다. 부끄러운 일!"하고 소리쳤다.


 


* 사막의교부,이집트의 성안토니오 아빠스 축일:1월17일,게시판887번,1572번.


 



 


This is the oldest surviving image of Augustine,
from the 6th century AD at the Lateran in Rome.


 


 


그는 명예, 재산, 결혼 등의 내적 갈등을 겪고 있었고,


다른 편에서는 하느님께 전적으로 헌신해 살려는 소망이 불길처럼 타올랐다.


아무런 결정도 내리지 못한 채 정원을 산보하다가 무화과나무 밑에서기도를 하고 있자니


"들어서 읽어보라! 들어서 읽어보라!"하는 어린이의 소리가 들려왔다.


방에 들어와서 상 위에 놓여 있는 성서를 들어 페이지를 들춰보니, 맨 먼저 눈에 뜨인 것이 이러했다.


 



 


"진탕 먹고 마셔 주정을 하거나 음행과 방종에 빠지거나 분쟁과 시기를 일삼거나 하지 말고


언제나 대낮으로 생각하고 단정하게 처신합시다.,


주 예수 그리스도를 본받아 새 사람이 되시오.


그리고 육체의 정욕을 만족시키려는 생각은 아예 하지 마십시오"


(로마 13, 13-14)라는 한 구절이었다.


 


 



 


성 안나,성 엘리자벳,성 아우구스티노와


축복된 피에로 델리 오네스티에게 둘러싸인 왕좌의 성모


1480년. 캔버스.. 240 x 328 cm.  브레라 미술관 소장


 


그 순간 아우구스티노에게는 대해(大海)와 같은 하느님의 은총이 흘러 그의 개종은 마침내 이루어진 것이다.


과거 33년간 눈물을 흘리며 아들의 회개를 위해 쫓아다니던 모니카가


이 사실을 알았을 때 얼마나 기뻐했을 것인가!


 


387년 부활 축일 전야에 아우구스티노는 그 아들 아데오다토와 친구 알리피오와 더불어


성 주교 암브로시오에게 세례를 받았다.


그와 동시에 전에 맛볼 수 없었던 평화와 기쁨이 그의 마음속에 깃들었다.


그는 보속 하기 위해 수사학 교수를 집어치우고 어머니와 함께 아프리카로 가려고 했다.


그런데 그 도중 아들이 회개를 보고 오랫동안의 소원을 이룬 모니카는 모라 부근인 오스티아에 이르렀을 때


열병에 걸려 마침내 그녀의 고귀한 희생적 생활의 보수를 받기 위하여 천국으로 길을 떠났다.


그 후 아프리카에 도착하자, 아들 아데오다토도 세상을 떠났다.


 


처음은 정든 어머니를 여의고, 이제는 귀여운 아들을 잃은 아우구스티노의 비애는 이루 말할 수 없었다.


그러나 그는 이를 하느님의 뜻으로 깨닫고 보속하는 마음으로 감수하며,


고독한 몸이 된 여생을 온전히 하느님께 바치기로 결심했다.


 



 


St Augustine’s Vision of St Jerome (scene 16, east wall)-GOZZOLI, Benozzo


1464-65.Fresco.Apsidal chapel, Sant’Agostino, San Gimignano


 


그때부터 그의 생활은 성스러움 바로 그것이었다.


이에 감탄한 신자들은 그를 성직자로 추대했으며, 히포의 주교 발레리오는


그들의 간청에 못 이겨 그에게 마침내 성품을 주고, 2년 후에는 부주교로 임명했다.


396년 발레리오 주교가 서거하자 아우구스티노는 신자 성직자들의 추대를 받아 그 후임 주교로 임명되었다.


그 중책을 완수하기를 34년간, 반생의 비행을 보상하기 위해 전력을 경주했으며,


우선 사제인 동료들과 공동생활을 하며, 청빈을 사랑하고 기도와 연구에 온힘을 기울이는 한편,


교구 신자들을 대할 때에는 아버지와 같은 온정으로써 인도했다.


그 공동생활을 위해 정해진 규칙은 후에 아우구스티노 수도회의 규율이 되었다.


 


성 아우구스티노의 가장 빛나는 업적은


아마도 그의 호교론과 영적 지도와 신학, 철학에 관한 많은 저서일 것이다.


 


실제로 그의 학문과 사상의 깊이는 초대 교회의 어느 학자보다도 단연 두각을 나타냈으며,


그노시스, 도나토, 마니, 펠라지오 등의 이단들과 싸워 교회를 보호하고,


위로는 재상으로부터 아래로는 농부에 이르기까지 많은 서한을 보내며,


각 계급 사람들에게 덕행의 길을 가르치거나 혹은 해결하지 못한 어려운 문제를 척척 해결해 주기도 했다.


 



 


 


그가 육(肉)과 영(靈)의 심각한 투쟁 후 ,


주님의 은총으로 결국 영이 승리를 얻게 되어 경건한 붓으로 기록한 고백록은


고래로부터 얼마나 많은 죄인들을 절망의 구렁에서 건졌으며 회개의 길로 인도했는가는


우리가 잘 아는 사실이다.


 


그 외에 개인 생활비까지 절약해 불쌍한 과부나 고아들을 구제하며,


암흑에 싸인 이교도들에게 진리의 빛을 비추어 주는 등,


참으로 침식을 잊으면서까지 노력하는 그 모습은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감탄을 금할 수 없게 했다.


 


429년에 로마에 침입해 약탈을 마음대로 하던 반달족은 또한 북 아프리카 지방에도 침입해 히포시를 포위했다.


그때 마침 아우구스티노는 병상에 누워 자기 병고를 하느님께 바치며 신자들의 기도를 청하고


속죄의 시편 7장을 외우고 나서 곧 76세를 일기로 하늘로 올라갔다.


때는 430년 8월 28일이었다.


그러나 위대한 아우구스티노의 이름은 청사에 빛나고 영원 불멸의 그의 공적은 더욱 찬미를 받을 것이다.


 



 


Funeral of St Augustine (scene 17, south wall)-GOZZOLI, Benozzo


1464-65.Fresco, width 440 cm.Apsidal chapel, Sant’Agostino, San Gimignano


 


당신을 사랑하고


당신 안에서 벗을 사랑하고


당신 때문에 원수를 사랑하는 사람은 행복합니다.


그들은 당신 안에서 모든 이를 사랑하기 때문입니다.


 


당신은 당신이 사랑하는 사람 모두를


결코 하나도 잃을 수가 없습니다.


 


그리고 당신을 거절하는 사람은


어디로 도망을 치고 어디로 피하겠습니까?


당신을 피함은 당신 자비에서 멀어짐이요


자신의 고뇌를 향해 달음질칠 뿐


기실 자신의 고뇌 속 어디에 가 있듯


당신 법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입니다.


 


진리는 당신의 법이요


진리는 바로 당신이십니다


 



 


서재의 聖 아우구스티누스-Alessandro Botticelli


1480.Fresco. 피렌체 옹니생티 성당 소장. ltaly


 


초기 기독교회의 교부로서, 기독교 교의에 신학적 통일을 부여하고.


중세의 사상 체계에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친 위대한 독창적 사상가 아우구스티누스의 모습이다.


 


존재와 미의 본질을 수(numerus)로 귀결하는 일종의 기독교적


피타고라스주의자다운 학자의 세계를 상징하듯,


배후의 책에 피타고라스의 정의가 명확하게 그러져 있음을 본다.


 


고뇌에 찬, 그러면서도 비통한 얼굴 표정은 기독교적 교의에 대한


철학적 사유에 몰두하고 있는 학자적 성품을 여실히 표현해 주고


있으며, 특히 손의 표정은 진지한 사유의 세계를 웅변적으로 설명해 주고 있는 듯하다.


 


보티첼리는 엄격한 사실적 묘사 가운데.


이 한 폭의 작품 속에서 성 아우구스티누스의 모든 것을 표상하고 있음을 보게 된다.


 



 


아우구스티노 성인에 의하면


인간에게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근본적인 삶의 태도가 있다고 합니다.


 


첫째는 ’아모르 수이’(Amor Sui),


곧 자기 중심적인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입니다.


 


이들은 ‘자기 자신을 너무나 사랑한 나머지 하느님을 밀쳐냅니다’


곧 이들은 하느님보다는 자기 자신을 더 사랑하기 때문에 언제나 자신을, 자신의 것을 앞세웁니다.


이런 사람에게는 무엇보다도 자신의 생각, 자신의 판단, 자신의 뜻, 자신의 가족,


자신의 지위가 더 소중하기 때문에 이들은 자기에게 주어지는 십자가를 회피하려 하고,


자기가 필요할 때만 하느님을 찾고, 언제나 자기에게 필요한 것만을 청하는 것입니다.


 


둘째는 ’아모르 데이’(Amor Dei),


곧 하느님 중심적인 삶, 타인 중심적인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입니다.


 


이들은 ‘하느님을 너무나 사랑한 나머지 자기 자신을 밀쳐냅디다’.


곧 이들은 자기 자신보다는 하느님을 더 사랑하기 때문에 언제나 하느님을 앞세웁니다.


이런 사람은 자신의 생각이나 판단 그리고 자신의 뜻이나 자신의 지위,


심지어는 혈연 관계마저도 뛰어넘어 오히려 하느님의 말씀을,


하느님의 뜻을 앞세우면서 하느님을 더욱더 사랑하는 사람입니다.


그래서 이런 사람은 언제나 하느님을 찾고, 언제나 자신에게보다는 타인에게 필요한 것을 먼저 청하고,


자기에게 주어지는 작고 큰 십자가들을 참으로 사랑하는 사람입니다.


 



 


♬시편97(98)편


 


시편 97편


1 야훼께서 왕위에 오르셨다. 온 땅은 춤을 추어라. 많은 섬들아 즐거워하여라.


2 안개에, 구름에 둘러 싸이고 정의와 공정이 그 옥좌의 바탕이요


3 불길이 그를 앞서 가며 에워 싼 원수들을 살라 버린다.


4 번개가 한번 번쩍 세상을 비추니 온 땅이 이를 보고 부들부들 떤다.


5 산들도 야훼 앞에서, 온 땅의 주님 앞에서 초처럼 녹아 내린다.


6 하늘이 그의 공정하심을 선포하고 만백성은 그의 영광을 뵙는다.


7 잡신들을 섬기는 자들아, 허수아비를 자랑하는 자들아 창피를 당하여라. 모든 신들아 그 앞에 엎드려라.


8 야훼여, 당신의 재판은 공정하시오니 시온이 이를 듣고 즐거워하며 유다의 딸들도 기뻐하옵니다.


9 야훼여, 당신은 온 세상에 으뜸이시오니 그 많은 모든 신들 훨씬 위에 계시옵니다.


10 악을 미워하는 자를 야훼께서 사랑하시고 당신을 믿는 자의 목숨을 지켜 주시어 악인들의 손에서 건져 주신다.


11 바르게 살면 그 앞이 환히 트이고 마음이 정직하면 즐거움이 돌아 온다.


12 바르게 사는 자들, 야훼 품에서 즐거워하여라. 거룩하신 그 이름을 찬양하여라.


 


시편 98편


1 새 노래로 야훼를 찬양하여라. 놀라운 기적들을 이루셨다. 그의 오른손과 거룩하신 팔로 승리하셨다.


2 야훼께서 그 거두신 승리를 알려 주시고 당신의 정의를 만백성 앞에 드러내셨다.


3 이스라엘 가문에 베푸신다던 그 사랑과 그 진실을 잊지 않으셨으므로 땅 끝까지 모든 사람이 우리 하느님의 승리를 보게 되었다.


4 온 세상아, 야훼께 환성을 올려라. 기뻐하며 목청껏 노래하여라.


5 거문고를 뜯으며 야훼께 노래 불러라. 수금과 많은 악기 타며 찬양하여라.


6 우리의 임금님, 야훼 앞에서 은나팔 뿔나팔 불어대며 환호하여라.


7 바다도, 그 속에 가득한 것들도, 땅도, 그 위에 사는 것들도 모두 환성을 올려라.


8 물결은 손뼉을 치고 산들은 다 같이 환성을 올려라.


9 야훼 앞에서 환성을 올려라. 세상을 다스리러 오신다. 온 세상을 올바르게 다스리시고 만백성을 공정하게 다스리시리라.


 


 


 


 


 


 


 


 


 


 


 


 


 


 


 


 


 


 


Sant' Agostino Vescovo e dottore della Chiesa
28 agosto - Memoria 
Tagaste (Numidia), 13 novembre 354 – Ippona (Africa), 28 agosto 430


Educato nella fede, ebbe una giovinezza dissipata finché non lesse l'Ortensio di Cicerone che lo riaccostò alla vita dello spirito. Fu attratto dal manicheismo ma l'incontro con Sant'Ambrogio, da cui fu battezzato, lo riportò alla fede. Tornato penitente in Africa dopo la morte della madre, fu ordinato sacerdote e vescovo di Ippona. Filosofo, teologo, mistico, oratore e sommo polemista(parte della sua vita fu dedicata alla lotta contro l'eresie), a lui si deve la prima sintesi tra Filosofia e Fede, che dimostra come sia possibile un perfetto accordo tra la città terrena e la città celeste. In un mondo come quello attuale, in cui la città terrena sembra essere in contrasto con quella celeste, il suo messaggio è ancora un monito e una speranza per l'umanità.


Patronato:Teologi, Stampatori
Etimologia: Agostino = piccolo venerabile, dal latino
Emblema: Bastone pastorale, Libro, Cuore di fuoco
 
Agostino è uno degli autori di testi teologici, mistici, filosofici, esegetici, ancora oggi molto studiato e citato; egli è uno dei Dottori della Chiesa come ponte fra l’Africa e l’Europa; il suo libro le “Confessioni” è ancora oggi ricercato, ristampato, letto e meditato.
“Tardi ti ho amato, bellezza tanto antica e tanto nuova, tardi ti ho amato. Ed ecco che tu stavi dentro di me e io ero fuori e là ti cercavo…. Ti ho gustato e ora ho fame e sete di te. Mi hai toccato e ora ardo dal desiderio di conseguire la tua pace”; così scrive Agostino Aurelio nelle “Confessioni”, perché la sua vita fu proprio così in due fasi: prima l’ansia inquieta di chi, cercando la strada, commette molti errori; poi imbroccata la via, sente il desiderio ardente di arrivare alla meta per abbracciare l’amato.
Agostino Aurelio nacque a Tagaste nella Numidia in Africa il 13 novembre 354 da una famiglia di classe media, di piccoli proprietari terrieri, il padre Patrizio era pagano, mentre la madre Monica, che aveva avuto tre figli, dei quali Agostino era il primogenito, era invece cristiana; fu lei a dargli un’educazione religiosa ma senza battezzarlo, come si usava allora, volendo attendere l’età matura.
Ebbe un’infanzia molto vivace, ma non certamente piena di peccati, come farebbe pensare una sua frase scritta nelle “Confessioni” dove si dichiara gran peccatore fin da piccolo. I peccati veri cominciarono più tardi; dopo i primi studi a Tagaste e poi nella vicina Madaura, si recò a Cartagine nel 371, con l’aiuto di un facoltoso signore del luogo di nome Romaniano; Agostino aveva 16 anni e viveva la sua adolescenza in modo molto vivace ed esuberante e mentre frequentava la scuola di un retore, cominciò a convivere con una ragazza cartaginese, che gli diede nel 372, anche un figlio, Adeodato.
Questa relazione sembra che sia durata 14 anni, quando nacque inaspettato il figlio; Agostino fu costretto, come si suol dire, a darsi una regolata, riportando la sua condotta inconcludente e dispersiva, su una più retta strada, ed a concentrarsi negli studi, per i quali si trovava a Cartagine.
Le lagrime della madre Monica, cominciavano ad avere un effetto positivo; fu in quegli anni che maturò la sua prima vocazione di filosofo, grazie alla lettura di un libro di Cicerone, l’”Ortensio” che l’aveva particolarmente colpito, perché l’autore latino affermava, come soltanto la filosofia aiutasse la volontà ad allontanarsi dal male e ad esercitare la virtù.
Purtroppo la lettura della Sacra Scrittura non diceva niente alla sua mente razionalistica e la religione professata dalla madre gli sembrava ora “una superstizione puerile”, quindi cercò la verità nel manicheismo.
Il Manicheismo era una religione orientale fondata nel III secolo d.C. da Mani, che fondeva elementi del cristianesimo e della religione di Zoroastro, suo principio fondamentale era il dualismo, cioè l’opposizione continua di due principi egualmente divini, uno buono e uno cattivo, che dominano il mondo e anche l’animo dell’uomo.
Ultimati gli studi, tornò nel 374 a Tagaste, dove con l’aiuto del suo benefattore Romaniano, aprì una scuola di grammatica e retorica, e fu anche ospitato nella sua casa con tutta la famiglia, perché la madre Monica aveva preferito separarsi da Agostino, non condividendo le sue scelte religiose; solo più tardi lo riammise nella sua casa, avendo avuto un sogno premonitore, sul suo ritorno alla fede cristiana.
Dopo due anni nel 376, decise di lasciare il piccolo paese di Tagaste e ritornare a Cartagine e sempre con l’aiuto dell’amico Romaniano, che egli aveva convertito al manicheismo, aprì anche qui una scuola, dove insegnò per sette anni, purtroppo con alunni poco disciplinati.
Agostino però tra i manichei non trovò mai la risposta certa al suo desiderio di verità e dopo un incontro con un loro vescovo, Fausto, avvenuto nel 382 a Cartagine, che avrebbe dovuto fugare ogni dubbio, ne uscì non convinto e quindi prese ad allontanarsi dal manicheismo.
Desideroso di nuove esperienze e stanco dell’indisciplina degli alunni cartaginesi, Agostino resistendo alle preghiere dell’amata madre, che voleva trattenerlo in Africa, decise di trasferirsi a Roma, capitale dell’impero, con tutta la famiglia.
A Roma, con l’aiuto dei manichei, aprì una scuola, ma non fu a suo agio, gli studenti romani, furbescamente, dopo aver ascoltate con attenzione le sue lezioni, sparivano al momento di pagare il pattuito compenso.
Subì una malattia gravissima che lo condusse quasi alla morte, nel contempo poté constatare che i manichei romani, se in pubblico ostentavano una condotta irreprensibile e casta, nel privato vivevano da dissoluti; disgustato se ne allontanò per sempre.
Nel 384 riuscì ad ottenere, con l’appoggio del prefetto di Roma, Quinto Aurelio Simmaco, la cattedra vacante di retorica a Milano, dove si trasferì, raggiunto nel 385, inaspettatamente dalla madre Monica, la quale conscia del travaglio interiore del figlio, gli fu accanto con la preghiera e con le lagrime, senza imporgli nulla, ma bensì come un angelo protettore.
E Milano fu la tappa decisiva della sua conversazione; qui ebbe l’opportunità di ascoltare i sermoni di s. Ambrogio che teneva regolarmente in cattedrale, ma se le sue parole si scolpivano nel cuore di Agostino, fu la frequentazione con un anziano sacerdote, san Simpliciano, che aveva preparato s. Ambrogio all’episcopato, a dargli l’ispirazione giusta; il quale con fine intuito lo indirizzò a leggere i neoplatonici, perché i loro scritti suggerivano “in tutti i modi l’idea di Dio e del suo Verbo”.
Un successivo incontro con s. Ambrogio, procuratogli dalla madre, segnò un altro passo verso il battesimo; fu convinto da Monica a seguire il consiglio dell’apostolo Paolo, sulla castità perfetta, che lo convinse pure a lasciare la moglie, la quale secondo la legge romana, essendo di classe inferiore, era praticamente una concubina, rimandandola in Africa e tenendo presso di sé il figlio Adeodato (ci riesce difficile ai nostri tempi comprendere questi atteggiamenti, così usuali per allora).
A casa di un amico Ponticiano, questi gli aveva parlato della vita casta dei monaci e di s. Antonio abate, dandogli anche il libro delle Lettere di S. Paolo; ritornato a casa sua, Agostino disorientato si appartò nel giardino, dando sfogo ad un pianto angosciato e mentre piangeva, avvertì una voce che gli diceva ”Tolle, lege, tolle, lege” (prendi e leggi), per cui aprì a caso il libro delle Lettere di S. Paolo e lesse un brano: “Comportiamoci onestamente, come in pieno giorno: non in mezzo a gozzoviglie e ubriachezze, non fra impurità e licenze, non in contese e gelosie. Rivestitevi del Signore Gesù Cristo e non seguite la carne nei suoi desideri” (Rom. 13, 13-14).
Dopo qualche settimana ancora d’insegnamento di retorica, Agostino lasciò tutto, ritirandosi insieme alla madre, il figlio ed alcuni amici, ad una trentina di km. da Milano, a Cassiciaco, in meditazione e in conversazioni filosofiche e spirituali; volle sempre presente la madre, perché partecipasse con le sue parole sapienti.
Nella Quaresima del 386 ritornarono a Milano per una preparazione specifica al Battesimo, che Agostino, il figlio Adeodato e l’amico Alipio ricevettero nella notte del sabato santo, dalle mani di s. Ambrogio.
Intenzionato a creare una Comunità di monaci in Africa, decise di ritornare nella sua patria e nell’attesa della nave, la madre Monica improvvisamente si ammalò di una febbre maligna (forse malaria) e il 27 agosto del 387 morì a 56 anni. Il suo corpo trasferito a Roma si venera nella chiesa di S. Agostino, essa è considerata il modello e la patrona delle madri cristiane.
Dopo qualche mese trascorso a Roma per approfondire la sua conoscenza sui monasteri e le tradizioni della Chiesa, nel 388 ritornò a Tagaste, dove vendette i suoi pochi beni, distribuendone il ricavato ai poveri e ritiratosi con alcuni amici e discepoli, fondò una piccola comunità, dove i beni erano in comune proprietà.
Ma dopo un po’ l’affollarsi continuo dei concittadini, per chiedere consigli ed aiuti, disturbava il dovuto raccoglimento, fu necessario trovare un altro posto e Agostino lo cercò presso Ippona.
Trovatosi per caso nella basilica locale, in cui il vescovo Valerio, stava proponendo ai fedeli di consacrare un sacerdote che potesse aiutarlo, specie nella predicazione; accortasi della sua presenza, i fedeli presero a gridare: “Agostino prete!” allora si dava molto valore alla volontà del popolo, considerata volontà di Dio e nonostante che cercasse di rifiutare, perché non era questa la strada voluta, Agostino fu costretto ad accettare.
La città di Ippona ci guadagnò molto, la sua opera fu fecondissima, per prima cosa chiese al vescovo di trasferire il suo monastero ad Ippona, per continuare la sua scelta di vita, che in seguito divenne un seminario fonte di preti e vescovi africani.
L’iniziativa agostiniana gettava le basi del rinnovamento dei costumi del clero, egli pensava: “Il sacerdozio è cosa tanto grande che appena un buon monaco, può darci un buon chierico”. Scrisse anche una Regola, che poi nel IX secolo venne adottata dalla Comunità dei Canonici Regolari o Agostiniani.
Il vescovo Valerio nel timore che Agostino venisse spostato in altra sede, convinse il popolo e il primate della Numidia, Megalio di Calama, a consacrarlo vescovo coadiutore di Ippona; nel 397 morto Valerio, egli gli successe come titolare.
Dovette lasciare il monastero e intraprendere la sua intensa attività di pastore di anime, che svolse egregiamente, tanto che la sua fama di vescovo illuminato si diffuse in tutte le Chiese Africane.
Nel contempo scriveva le sue opere che abbracciano tutto il sapere ideologico e sono numerose, vanno dalle filosofiche alle apologetiche, dalle dogmatiche alle morali e pastorali, dalle bibliche alle polemiche. Queste ultime riflettono l’intensa e ardente battaglia che Agostino intraprese contro le eresie che funestavano l’unità della Chiesa in quei tempi: Il Manicheismo che conosceva bene, il Donatismo sorto ad opera del vescovo Donato e il Pelagianesimo propugnato dal monaco bretone Pelagio.
Egli fu maestro indiscusso nel confutare queste eresie e i vari movimenti che ad esse si rifacevano; i suoi interventi non solo illuminarono i pastori di anime dell’epoca, ma determinarono anche per il futuro, l’orientamento della teologia cattolica in questo campo. La sua dottrina e teologia è così vasta che pur volendo solo accennarla, occorrerebbe il doppio dello spazio concesso a questa scheda, per forza sintetica; il suo pensiero per millenni ormai è oggetto di studio per la formazione cristiana, le tante sue opere, dalle “Confessioni” fino alla “Città di Dio”, gli hanno meritato il titolo di Dottore della Chiesa.
Nel 429 si ammalò gravemente, mentre Ippona era assediata da tre mesi dai Vandali comandati da Genserico († 477), dopo che avevano portato morte e distruzione dovunque; il santo vescovo ebbe l’impressione della prossima fine del mondo; morì il 28 agosto del 430 a 76 anni. Il suo corpo sottratto ai Vandali durante l’incendio e distruzione di Ippona, venne trasportato poi a Cagliari dal vescovo Fulgenzio di Ruspe, verso il 508-517 ca., insieme alle reliquie di altri vescovi africani.
Verso il 725 il suo corpo fu di nuovo traslato a Pavia, nella Chiesa di S. Pietro in Ciel d’Oro, non lontano dai luoghi della sua conversione, ad opera del pio re longobardo Liutprando († 744), che l’aveva riscattato dai saraceni della Sardegna.


Autore: Antonio Borrelli
_______________________
Aggiunto il 8-Oct-2003
Letto da 13421 persone
 



 
Augustine of Hippo
 
Also Known As
Aurelius Augustinus; Doctor of Grace
Memorial
28 August
Profile
His father was a pagan who converted on his death bed; his mother was Saint Monica, a devout Christian. Trained in Christianity, he lost his faith in youth and led a wild life. Lived with a Carthaginian woman from the age of 15 through 30. Fathered a son whom he named Adeotadus, which means the gift of God. Taught rhetoric at Carthage and Milan. After investigating and experimenting with several philosophies, he became a Manichaean for several years; it taught of a great struggle between good and evil, and featured a lax moral code. A summation of his thinking at the time comes from his Confessions: "God, give me chastity and continence - but not just now."


Augustine finally broke with the Manichaeans and was converted by the prayers of his mother and the help of Saint Ambrose of Milan, who baptized him. On the death of his mother he returned to Africa, sold his property, gave the proceeds to the poor, and founded a monastery. Monk. Priest. Preacher. Bishop of Hippo in 396. Founded religious communities. Fought Manichaeism, Donatism, Pelagianism and other heresies. Oversaw his church and his see during the fall of the Roman Empire to the Vandals. Doctor of the Church. His later thinking can also be summed up in a line from his writings:
Our hearts were made for You, O Lord, and they are restless until they rest in you.
Born
13 November 354 at Tagaste, Numidia, North Africa (Souk-Ahras, Algeria) as Aurelius Augustinus
Died
28 August 430 at Hippo
Canonized
Pre-Congregation
Patronage
brewers; diocese of Bridgeport, Connecticut; Cagayan de Oro, Philippines; diocese of Ida, Philippines; Isleta Indian Pueblo; diocese of Kalamazoo Michigan; printers; city of Saint Augustine, Florida; diocese of Saint Augustine, Florida; sore eyes; diocese of Superior, Wisconsin; theologians; diocese of Tucson, Arizona
Representation
child; dove; pen; shell
Readings
God has no need of your money, but the poor have. You give it to the poor, and God receives it.


Saint Augustine
--------------------------------------------------------------------------------
The honors of this world, what are they but puff, and emptiness and peril of falling?


Saint Augustine
--------------------------------------------------------------------------------
Daily advance, then, in this love, both by praying and by well doing, that through the help of Him who enjoined it on you, and whose gift it is, it may be nourished and increased, until, being perfected, it render you perfect.


Saint Augustine
--------------------------------------------------------------------------------
What do you possess if you possess not God?


Saint Augustine
--------------------------------------------------------------------------------
Unhappy is the soul enslaved by the love of anything that is mortal.


Saint Augustine
--------------------------------------------------------------------------------
The love of worldly possessions is a sort of bird line, which entangles the soul, and prevents it flying to God.


Saint Augustine
--------------------------------------------------------------------------------
This very moment I may, if I desire, become the friend of God.


Saint Augustine
--------------------------------------------------------------------------------
God bestows more consideration on the purity of the intention with which our actions are performed than on the actions themselves.


Saint Augustine
--------------------------------------------------------------------------------
I will suggest a means whereby you can praise God all day long, if you wish. Whatever you do, do it well, and you have praised God.


Saint Augustine
--------------------------------------------------------------------------------
This is the business of our life. By labor and prayer to advance in the grace of God, till we come to that height of perfection in which, with clean hearts, we may behold God.


Saint Augustine
--------------------------------------------------------------------------------
God in his omnipotence could not give more, in His wisdom He knew not how to give more, in His riches He had not more to give, than the Eucharist.


Saint Augustine
--------------------------------------------------------------------------------
God does not command impossibilities, but by commanding admonishes you do what you can and to pray for what you cannot, and aids you that you may be able.


Saint Augustine
--------------------------------------------------------------------------------
Our life and our death are with our neighbor.


Saint Augustine
--------------------------------------------------------------------------------
Conquer yourself and the world lies at your feet.


Saint Augustine
--------------------------------------------------------------------------------
O eternal truth, true love and beloved eternity. You are my God. To you do I sigh day and night. When I first came to know you, you drew me to yourself so that I might see that there were things for me to see, but that I myself was not yet ready to see them. Meanwhile you overcame the weakness of my vision, sending forth most strongly the beams of your light, and I trembled at once with love and dread.


I sought a way to gain the strength which I needed to enjoy you. But I did not find it until I embraced "the mediator between God and men, the man Christ Jesus, who is above all, God blessed for ever." He was calling me and saying: "I am the way of truth, I am the life."


Late have I loved you, O Beauty ever ancient, ever new, late have I loved you! You were within me, but I was outside, and it was there that I searched for you. In my unloveliness I plunged into the lovely things which you created. You were with me, but I was not with you. Created things kept me from you; yet if they had not been in you they would have not been at all. You called, you shouted, and you broke through my deafness. You flashed, you shone, and you dispelled my blindness. You breathed you fragrance on me; I drew in breath and now I pant for you. I have tasted you, now I hunger and thirst for more. You touched me, and I burned for your peace.


from the Confessions of Saint Augustine
--------------------------------------------------------------------------------
Neither are the souls of the pious dead separated from the Church which even now is the kingdom of Christ. Otherwise there would be no remembrance of them at the altar of God in the communication of the Body of Christ.


from The City of God by Saint Augustine
--------------------------------------------------------------------------------
A Christian people celebrates together in religious solemnity the memorials of the martyrs, both to encourage their being imitated and so that it can share in their merits and be aided by their prayers."


from Against Faustus the Manichean, by Saint Augustine
--------------------------------------------------------------------------------
There is an ecclesiastical discipline, as the faithful know, when the names of the martyrs are read aloud in that place at the altar of God, where prayer is not offered for them. Prayer, however, is offered for the dead who are remembered. For it is wrong to pray for a martyr, to whose prayers we ought ourselves be commended.


from Sermons by Saint Augustine
--------------------------------------------------------------------------------
At the Lord's table we do not commemorate martyrs in the same way that we do others who rest in peace so as to pray for them, but rather that they may pray for us that we may follow in their footsteps.


from Homilies on John by Saint Augustine
--------------------------------------------------------------------------------
Since we cannot, as yet, understand that He was begotten by the Father before the day-star, let us celebrate His birth of the Virgin in the nocturnal hours. Since we do not comprehend how His name existed before the light of the sun, let us recognize His tabernacle placed in the sun. Since we do not, as yet, gaze upon the Son inseparably united with His Father, let us remember Him as the 'bridegroom coming out of his bride chamber.' Since we are not yet ready for the banquet of our Father, let us grow familiar with the manger of our Lord Jesus Christ.


Saint Augustine
--------------------------------------------------------------------------------
He prays for us as our priest, prays in us as our Head, and is prayed to by us as our God. Therefore let us acknowledge our voice in him and his in us.


Saint Augustine
--------------------------------------------------------------------------------
Question the beauty of the earth, the sea, the air distending and diffusing itself, the sky, question all these realities. All respond: 'See, we are beautiful.' These beauties are subject to change. Who made them if not the Beautiful One who is not subject to change?


Saint Augustine
--------------------------------------------------------------------------------
One and the same Word of God extends throughout the Scripture, that it is one and the same Utterance that resounds in the mouths of all the sacred writers, since He who was in the beginning God with God has no need for separate syllables; for he is not subject to time.


Saint Augustine
--------------------------------------------------------------------------------
Jesus Christ will be Lord of all, or he will not be Lord at all.


Saint Augustine
--------------------------------------------------------------------------------
If physical things please you, then praise God for them, but turn back your love to Him who created them, lest in the things that please you, you displease Him. If souls please you, love them in God; for in themselves they are changeable, but in Him they are firmly established. Without Him they pass away and perish. In Him, then, let them be loved, and carry along with you to Him as many souls as you can, and say to them, "Let us love Him, let us love Him; He made the world and is not far from it. He did not make all things and then leave them, but they are of Him and in Him. See, there He is wherever truth is loved. He is within the very heart, yet the heart has strayed from Him. Return to your heart, O you transgressors, and hold fast to Him who made you. Stand with Him and you will stand fast. Rest in Him and you shall be at rest."


Saint Augustine, from The Confessions
--------------------------------------------------------------------------------
Let us understand that God is a physician, and that suffering is a medicine for salvation, not a punishment for damnation.


Saint Augustine
--------------------------------------------------------------------------------
O Sacrament of Love! O sign of Unity! O bond of Charity! He who would have Life finds here indeed a Life to live in and a Life to live by.


Saint Augustine
--------------------------------------------------------------------------------
If you see that you have not yet suffered tribulations, consider it certain that you have not begun to be a true servant of God; for Saint Paul says plainly that all who chose to live piously in Christ, shall suffer persecutions


Saint Augustine
--------------------------------------------------------------------------------
I speak to you who have just been reborn in baptism, my little children in Christ, you who are the new offspring of the Church, gift of the Father, proof of Mother Church's fruitfulness. All of you who stand fast in the Lord are a holy seed, a new colony of bees, the very flower of our ministry and fruit of our toil, my joy and my crown. It is the words of the Apostle that I address to you: Put on the Lord Jesus Christ, and make no provision for the flesh and its desires, so that you may be clothed with the life of him whom you have put on in this sacrament. You have all been clothed with Christ by your baptism in him. There is neither Jew nor Greek; there is neither slave nor freeman; there is neither male nor female; you are all one in Christ Jesus.


Such is the power of this sacrament: it is a sacrament of new life which begins here and now with the forgiveness of all past sins, and will be brought to completion in the resurrection of the dead. You have been buried with Christ by baptism into death in order that, as Christ has risen from the dead, you also may walk in newness of life.


You are walking now by faith, still on pilgrimage in a mortal body away from the Lord; but he to whom your steps are directed is himself the sure and certain way for you: Jesus Christ, who for our sake became man. For all who fear him he has stored up abundant happiness, which he will reveal to those who hope in him, bringing it to completion when we have attained the reality which even now we possess in hope.


This is the octave day of your new birth. Today is fulfilled in you the sign of faith that was prefigured in the Old Testament by the circu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성이름 날짜 조회 수
736 프란치스칸 성인 성 요한 비안네 신부님의 말씀 (성시간 묵상) [1] 안젤라 2009-08-26 6053
735 프란치스칸 성인 기도와 사랑은 고귀한 과업이다-성 요한 마리아 비안네 사제의 교리 지도에서 안젤라 2009-08-26 4351
734 프란치스칸 성인 사랑의 기도 - 성 요한 비안네(1786-1859)사제 안젤라 2009-08-26 5291
733 프란치스칸 성인 의로운 왕이 이 지상을 진보시킨다-성 루도비꼬가 자기 아들에게 남긴 영적 유언에서 [1] 안젤라 2009-08-26 4268
732 프란치스칸 성인 성왕 루도비코 9세(축일:8월25일) 안젤라 2009-08-26 20603
731 프란치스칸 성인 오, 영원한 진리여,참스런 사랑이여,사랑스런 영원이여-성 아우구스띠노 주교의 고백록에서 안젤라 2009-08-28 4365
» 프란치스칸 성인 성 아우구스티노 주교 학자(축일:8월28일) 안젤라 2009-08-28 41981
729 프란치스칸 성인 복되신 동정마리아 탄신 축일(9월8일),성모님 축일표 안젤라 2009-09-10 8016
728 프란치스칸 성인 옛것은 사라지고 모든것은 새롭게되었도다-크레타의 성 안드레아 주교 안젤라 2009-09-10 4104
727 프란치스칸 성인 9월9일 복녀 세라피나 스포르자(2회) 안젤라 2009-09-10 14856
726 프란치스칸 성인 9월10일 톨렌티노의 성 니콜라오 안젤라 2009-09-10 16675
725 프란치스칸 성인 9월11일 성 요한 가브리엘 퍼보일러 순교자 안젤라 2009-09-10 5069
724 프란치스칸 성인 9월12일 성 구이도(귀) 안젤라 2009-09-11 4286
723 프란치스칸 성인 9월13일 성 요한 크리소스토모 주교학자 안젤라 2009-09-11 5295
722 프란치스칸 성인 나에게는 그리스도가 생의 전부이며 죽는 것도 이득이 됩니다-성 요한 크리소스또모 주교힉지 안젤라 2009-09-11 4550
721 프란치스칸 성인 9월14일 성 십자가 현양 축일 안젤라 2009-09-11 7376
720 프란치스칸 성인 9월15일 고통의 성모 마리아 기념일 안젤라 2009-09-11 12950
719 프란치스칸 성인 9월16일 성 고르넬리오 교황과 성 치프리아노 주교 순교자 안젤라 2009-09-11 5081
718 프란치스칸 성인 9월17일 성 로베르또 벨라르미노 주교 학자 안젤라 2009-09-11 4385
717 프란치스칸 성인 9월17일 성녀 힐데 가르다 안젤라 2009-09-11 74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