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lider01 slider02 slider03 slider04
프란치스칸 성인/성지




축일 : 8월 31일


성 라이문도 논나투스


San Raimondo Nonnato Religioso


St.Raymundus Nonnatus, C.


(Portell (Spagna), 1200 - Cardona (Spagna), 31 agosto 1240)


Born : 1204 at Portella, diocese of Urgel, Catalonia, Spain
Died : 31 August 1240 at Cardona, Spain of a fever;
buried at the chapel of Saint Nicholas near his family farm he was supposed to manage
Canonized :5 November 1625 by Pope Urban VIII (cultus confirmed);


1657 by Pope Alexander VII (canonized)
Name Meaning :not born (= non-natus) as he was delivered by ceasarian


Raimondo = intelligenza protettrice, dal tedesco(protecting intelligence, from the German)


조산원의 수호성인




1200(1204?)년 스페인 카탈로니아의 포르뗄라에서 태어난 그는


자신을 낳던 중에 어머니가 죽음으로써 제왕절개 수술로 생명을 얻었다.



이때문에 논나뚜스 즉 태어나지 않았다는 별명을 얻은 것이다.(not born = non-natus)


그는 바르셀로나에서 성 베드로 놀라스꼬의 지도 아래


노예구제 수도회인 메르체데 성모 마리아회(Order of Our Lady of Mercy)회원이 되었다.



사라센족과의 싸움에서 붙잡혀 노예가 된 신자들을 대속하기 위하여 알제리아로 파견되었다.


그는 대속금이 바닥이 났을 때에는 인질로 잡혀 있으면서


극심한 고문과 중노동에도 신앙을 지킴으로써 많은 이교도인들을 광명으로 인도하였다.



또한 목숨을 걸고 탈출한 사실도 있다.


그런 후에도 계속하여 활동하다가 8개월 간 포로로 잡혀 있던 중, 베드로 놀라스꼬에 의하여 석방되었다.


1239년, 바르셀로나로 돌아온 그는 그레고리오 9세에 의하여 추기경으로 임명되었고,


그 다음 해에 로마로 향하던 중 카르도나에서 선종하였다.





메르체데의 성모마리아


Our Lady of Mercy.Beata Vergine Maria della Mercede



1218년 성 베드로 놀라스코의 꿈에 성모님 발현하신 것을 기념하는 축일이며,


성모님은 페나포르트의 라이문도, 야고보, 아라고나 왕에게도 발현하셨고


많은 신자들이 회교도의 노예가 되는 것을 걱정하시면서 구해주라고 청하셨다고한다.


이때 메르체데의 수도회가 창설되었다.





*메르체데의 성모마리아 축일 :9월24일.게시판654번,1381번.


*성 베드로 놀라스코축일:1월28일.게시판919번,1591번


*페냐포르트의 성 라이문도축일:1월7일.게시판843번,1556번





Feast of Our Lady of Mercy



사라센인들은 8세기경, 전 유럽을 침략해 특별히 스페인을 완전히 정복하고,


무수한 남녀 신자들을 북 아프리카 지방에 끌고 가서 노예로 팔았다.


그때 남아있던 신자들은 노예가 된 형제 자매를 구출하기 위해 갖은 방법을 강구하고


마침내 메르세데의 성모 마리아회라 칭하는 노예 구제 수도회를 조직하게 되었는데,


성 라이문도 논나투스는 동 회원 중 가장 유명한 사람이었다.



그는 1204년에 스페인의 포르테로에서 태어났다. 논나투스란 ’출생 안 된 자’라는 뜻인데,


모친이 그를 해산할 때 사망하여 절개 수숭을 통해 끄집어 냈다는 데서 온 것이다.



부모는 많은 재산은 없었으나 결백하고 신심이 두터운 분들이었다.


부친은 어미 없는 라이문도를 불쌍히 여겨 잘 길러서 후일 기사(騎士)나


혹은 학자로 출세시키려는 큰 기대를 가지고 있었다.


사실 라이문도는 그 기대에 어긋나지 않을 만큼 재주를 가지고 있었으며,


학식도 출중하고 성격도 극히 경건해 세속적 야심은 조금도 엿볼 수 없는 사람이었다.



학교를 졸업하고 부친의 뜻대로 산에 있는 농장을 보살폈는데,


그는 그 조용한 곳에서 기도와 묵상을 마음대로 할 수 있다는 것을 가장 큰 행복으로 생각했다.


그리고 틈만 있으면 부근에 있는 성 니콜라오 성당을 방문하고


성모 마리아의 성상 앞에 엎드려 주님의 뜻이 무엇인가를 가르쳐 주시기를 열심히 기도했다.






메르세데의 성모 마리아회


Order of Our Lady of Mercy


Founded:10 August 1218 at Barcelona, Spain


Founder:Saint Peter Nolasco



그 결과 성령의 비추임으로 깨달은 성모님의 권고는


"최근 설립된 메르세데의 성모 마리아회에 들어가 노예가 된 형제를 구하라"는 것이었다.


라이문도는 즉시 바르셀로나에 가서 그 회의 창립자 성 베드로 놀라스코에게


동회에 입회시켜 줄 것을 간청했다.


부친은 아들의 이러한 결심에 처음에는 쾌히 승낙하려 하지 않았으나,


그의 거듭되는 요청과 또 그의 대부인 카르도네 남작의 후원으로 마침내는 승낙했다.



젊은 수련자는 기쁨과 감사에 충만하여 갑절의 열성으로 오로지 수덕에만 매진했으므로,


3년 후에는 일찍이 북 아프리카의 알제리아 지방에서


노예 생활을 하고 있는 신자들을 구출하기 위해 파견되었다.


그는 가능한 한 그들에게 육신의 자유를 주도록 노력하는 동시에, 그들의 영신적 고민,


즉 그들을 죄악에서 구출하기 위해 수고를 아끼지 않았고,


마호메트교를 믿는 사라센들에게 가톨릭 교리를 설명해 주며,


그들을 어둠에서 광명으로 인도하기에 여념이 없었다.



이리하여 많은 노예를 석방시키고 준비해온 몸값도 다 떨어지자 라이문도는


본국에서 배상금이 올 때까지 자신이 볼모가 되어서라도 노례가 된 신자들을 구출하여 했다.


이것을 본 사라센 중에는 이러한 비할 데 없는 애인 덕에 감화를 받아 교회에 나오는 사람이 많았다.



그러나 그것 때문에 완강한 자들에게 미움을 산 일도 한두 번이 아니었다.


그런 자들은 라이문도를 잡아다 때리며, 주리를 틀고 굶기는 등 갖은 형벌을 가했으며,


한 번은 막대기에 끼위서 죽이려 했으나,


인질을 죽이면 배상금을 받지 못한다는 이유로 그의 생명을 겨우 살려준 일도 있었다.





잔인 무도한 사라센들은 배상금이 올 때까지 라이문도를 음산한 감옥에 유폐시키고


그의 입술을 뻘겋게 달은 못으로 구멍을 꿇고 자물쇠를 채워 말을 못하게 하고,


겨우 식사때만 자물쇠를 열어 밥을 먹였다. 이렇게 하기를 8개월, 그의 고통은 얼마나 컸을까?


그러나 그는 조금도 원망치 않고 예수의 수난을 묵상하며 잘 참아 받았다.



그의 비참한 처지를 전해 들은 본국의 수도회 총장은


그에게 곧 귀국하라는 명령과 동시에 배상금을 급송했으며,


당시의 교황 그레고리오 4세는 라이문도의 선교의 공적과 희생심의 위대함에 감탄하여


그를 추기경에 올릴 뜻을 전했다.


그러나 그 무수한 형벌과 노동에 체력이 약해진 라이문도는 1240년 스페인에 상륙하자마자 열병에 걸려,


교황의 초청을 받아 로마로 향하던 도중 코르도마에서 세상을 떠났다. 때는 그 해 8월 31일이었다.



신자들 간에는 이 자선 사업의 영웅 라이문도의 유해를 어디다 모시느냐에 대한 이론이 일어났다.


결정하지 못하고 대신 눈을 가리운 말에다 그 유해를 실러 보내니 신기하게도


그가 청년 시절에 좋아했던 성 니콜라오 소성당 근처에 발을 멈추는 것이었다.


그래서 그곳에다 정성되이 장례를 지냈다.



그 후 그 묘지를 둘러싸고 대수도원과 웅장한 대성당이 건립되었다.


그리고 그의 시성식은 1657년, 교황 알렉산데르 7세에 의해 거행되었다.






♬salve regina coelitum -성바오로딸수도회










Sant' Aidano di Lindisfarne Vescovo
31 agosto
Irlanda ? – Bambourgh, Inghilterra, 31 agosto 651


Di Aidano ci è giunta una descrizione a opera del monaco anglosassone Beda il Venerabile, che nacque 20 anni dopo la sua morte. È sconosciuto il luogo e la data di nascita di Aidano, ma si crede che fosse irlandese. Nel 635 fu nel monastero di Iona nell'omonima isola e centro missionario dell'epoca. In quell'anno il re di Northumbria, Oswald desideroso di diffondere il cristianesimo nel suo regno, si rivolse all'abate di Iona, dove era stato convertito e battezzato, affinché mandasse un missionario. Dopo il fallimento del vescovo Cormano, fu mandato lo stesso Aidano, che intanto era stato consacrato vescovo missionario. Accolto dal re Oswald gli concesse l'isola di Lindsfarne nel Mare del Nord per fondarvi un monastero e una sede episcopale. Aidano ebbe un aiuto costante da parte del re Oswald e quando questi morì nel 642, il successore Oswin, continuò ad appoggiarlo nella sua opera di apostolato missionario. Undici giorni dopo la morte del re Oswin assassinato, anche Aidano morì a Bambourgh il 31 agosto 651 e sepolto nel suo monastero. (Avvenire)


Emblema: Bastone pastorale

Di s. Aidano ci ha lasciato una sua memorabile descrizione, il monaco anglosassone s. Beda il Venerabile (672-735), Dottore della Chiesa, nella sua “Historia Ecclesiastica Gentis Anglorum”, e che nacque 20 anni dopo la sua morte, quindi abbastanza vicino al suo tempo.
È sconosciuto il luogo e la data di nascita di Aidano, ma ragionevolmente si crede che sia irlandese; lo si ritrova nel 635 nel monastero di Iona, fondato nel 563 da s. Colombano nell’omonima isola e centro missionario dell’epoca, al tempo del quinto abate Seghino.
In quell’anno 635, il re di Northumbria, Osvaldo (604-642) desideroso di diffondere il cristianesimo nel suo regno, si rivolse all’abate di Iona, dove era stato convertito e battezzato, affinché mandasse un missionario.
Fu inviato prima il vescovo Cormano, il quale fallì perché considerò il popolo di Northumbria barbaro ed ostinato; Aidano monaco anch’egli ad Iona, non fu d’accordo con Cormano, ritenendo che il suo agire era stato troppo rigido e non comprensivo dell’ignoranza di quelle genti, alle quali bisognava far conoscere “il latte di una dottrina più umana”.
La tesi di Aidano fu accettata dall’abate e così consacrato vescovo missionario, sempre nel 635 fu mandato in Inghilterra, accolto favorevolmente dal re Oswald, il quale visto i successi desiderati in conversioni, gli concesse l’isola di Lindsfarne nel Mare del Nord per fondarvi un monastero con la regola di s. Colomba e una sede episcopale di fronte alla residenza reale di Bambourgh.
L’isola di Lindsfarne, fu poi conosciuta come l’Isola Santa (Holy Island) per il gran numero di monaci e cristiani che l’abitavano. Nel 664 fu riconosciuta la sua primazia sull’Inghilterra cristiana. Aidano ebbe un aiuto costante da parte del re Oswald e quando questi morì nel 642, il successore Oswin, continuò ad appoggiarlo nella sua opera di apostolato missionario.
Beda descrive la sua opera infaticabile, che lo portò a fondare chiese, scuole, monasteri, rafforzando lo ‘sciptorium’ di Lindsfarne, anche se Aidano mantenne gli usi celtici per la celebrazione della Pasqua, introducendoli in Inghilterra.
Uomo virtuoso, dedito all’astinenza, alla carità, alla preghiera e allo studio delle Scritture, seppe nel contempo combattere con vigore i ricchi ed i potenti, che viziosi opprimevano i poveri.
Viaggiava sempre a piedi, evitava di sedersi alla tavola del re, distribuiva ai poveri i doni ricevuti, accontentandosi dello stretto necessario. Si guadagnò per la santità di vita, la stima dei grandi ecclesiastici del tempo; fu direttore spirituale della badessa Ilda.
Undici giorni dopo la morte del re Oswin assassinato, anche Aidano morì a Bambourgh il 31 agosto 651 e sepolto nel suo monastero, ma poi le sue reliquie furono traslate nella chiesa di S. Pietro a Lindsfarne; una parte di esse nel 664, furono portate a Iona, dal suo successore Colmano.
Gli studiosi inglesi lo considerano “l’apostolo dell’Anglia”; a lui è attribuita la vocazione di s. Cutberto (637-687), il quale divenne monaco e poi vescovo di Lindsfarne.
Si raccontano alcuni prodigi da lui compiuti; placò una tempesta versando nel mare dell’olio consacrato e durante una guerra tra il re della Mercia e quello della Northumbria, con le sue preghiere, ritorse addosso ai nemici le fiamme che questi avevano appiccato a Bambourgh.
Venerato particolarmente nell’Argyll e in Scozia, la sua festa è al 31 agosto.


Autore: Antonio Borrelli
_______________________
Aggiunto il 17-Nov-2002
Letto da 1977 persone




Aidan

Also known as
Aidan of Lindesfarne; Apostle of Northumbria
Memorial
31 August
Profile
Monk at Iona, Ireland. Studied under Saint Senan at Inish Cathay. Bishop of Clogher, Ireland. Resigned the see to became a monk at Iona c.630. Evangelizing bishop in Northumbria, England at the behest of his friend the king, Saint Oswald of Northumbria. Once when pagans attacked Oswald's forces at Bambrough, they piled wood around the city walls to burn it; Saint Aidan prayed for help, and a change in wind blew the smoke and flames over the pagan army.


Known for his knowledge of the Bible, his eloquent preaching, his personal holiness, simple life, scholarship, and charity. Miracle worker. Trained Saint Boswell. Founded the Lindesfarne monastery that became not only a religious standard bearer, but a great storehouse of European literature and learning during the dark ages. Saint Bede is lavish in his praise of the episcopal rule of Aidan.
Born
Irish
Died
31 August 651 at Bamborough of natural causes; the young Saint Cuthbert, a shepherd in the fields at the time, saw Aidan's soul rise to heaven as a shaft of light; buried at Lindesfarne
Name Meaning
fire
Representation
calming a storm; extinguishing a fire; holding up a lighted torch; with a stag at his feet
Readings
O holy Bishop Aidan, Apostle of the North and light of the Celtic Church, glorious in humility, noble in poverty, zealous monk and loving missionary, intercede for us sinners that Christ our God may have mercy on our souls.


- troparion of Saint Aidan
--------------------------------------------------------------------------------
Thou didst teach and preserve Christ's doctrine and didst spread the faith throughout Northumbria, O holy Hierarch Aidan. Unceasingly pray to God for us for thou dost worship before His throne for ever.


- kontakion of Saint Aidan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성이름 날짜sort 조회 수
780 프란치스칸 성인 9월1일 실바의 성녀 베아트리체 동정(2회) ♬Ave Maria 안젤라 2010-09-01 7238
» 프란치스칸 성인 8월31일 성 라이문도 논나투스♬salve regina coelitum 안젤라 2010-08-23 3779
778 프란치스칸 성인 8월31일 성 에이단 주교♬Spiritus Domini 안젤라 2010-08-23 3215
777 프란치스칸 성인 8월30일 성 판띠노♬시편71(72) 안젤라 2010-08-23 3596
776 프란치스칸 성인 8월29일[이콘]성 요한 세례자의 수난 기념♬시편22(23)편 안젤라 2010-08-23 3154
775 프란치스칸 성인 8월29일[카타콤바]로마의 성녀 사비나 순교자♬시편102(103) 안젤라 2010-08-23 4396
774 프란치스칸 성인 8월28일 성 아우구스티노 주교 학자♬시편97(98)편 안젤라 2010-08-23 3535
773 프란치스칸 성인 8월27일 성녀 모니카♬시편15(16)편 안젤라 2010-08-23 3098
772 프란치스칸 성인 8월26일(8월23일)복자 오피다의 베르나르도(1회) ♬시편8편 안젤라 2010-08-23 3016
771 프란치스칸 성인 8월26일성녀엘리사벳 비쉬엘 데 아제스(5월13일성안드레아푸르네,5월14일성미카엘가리코이트사제) 안젤라 2010-08-23 3227
770 프란치스칸 성인 8월25일 성 루도비코 9세(3회)프란치스칸성인 축일표♬가난함을 주소서 안젤라 2010-08-23 16678
769 프란치스칸 성인 8월25일 성 요셉 데 갈라상스 사제♬Surrexit(canon) 안젤라 2010-08-23 2748
768 프란치스칸 성인 8월24일 성 바르톨로메오 사도♬Occuli Omnium 안젤라 2010-08-23 4739
767 프란치스칸 성인 8월23일 리마의 성녀 로사 동정♬시편71(72)편 안젤라 2010-08-15 3550
766 프란치스칸 성인 8월23일 성 필립보 베니찌♬salve regina coelitum 안젤라 2010-08-15 2885
765 프란치스칸 성인 8월22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 모후 기념일(성모님축일표)♬Salve Regina 안젤라 2010-08-15 3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