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lider01 slider02 slider03 slider04
프란치스칸 성인/성지




축일:8월7일


성 가예타노 사제


Saint Cajetan


St. Cajetan of Tienne
San Gaetano Thiene Sacerdote
(Vicenza, ottobre 1480 - Napoli, 7 agosto 1547 )
Born :October 1480 at Vicenza, Italy as Gaetano dei Conti di Tiene
Died :1547 at Naples, Italy
Beatified :8 October 1629 by Pope Urban VIII
Canonized :12 April 1671 by Pope Clement X
Gaetano = nativo di Gaeta, dal latino







1480년 이탈리아의 비첸차에서 태어났다.


파도바에서 법학을 공부한 후 법률가로서 평범한 삶을 살았던 성인은


36세에 서품을 받고 가난하고 병들고 어려운 사람들을 돌보는 데 일생동안 헌신했다.



그는 테아티노회라는 수도회를 설립했는데 이 수도회는 당시의 부패된 교회를 개혁하려는 운동이었다.


베네치아와 나폴리 지방에 이 수도회를 파급 시키는 데 노력했다.


나폴리에서 세상을 떠났다.






우리들과 마찬가지로 가예타노도 평범한 삶을 살았으며 처음에는 법률가로서,


후에는 사제로서 로마 교황청에서 일했다.


그는 36 세에 서품을 받고 곧 로마에 있는 하느님 사랑의 오라토리오회에 입회했다.


이것은 그의 인생의 커다란 전환이었다.


이 단체는 동정과 자비를 위해 헌신하는 회였다.


그는 42 세 때 베네치아에 불치병 환자를 위한 병원을 세웠다.


비첸차에서는 가장 하류층의 남자들로만 구성된 평판이 나쁜 수도회에 들어갔다.


그 때문에 그는 친구들로부터 가문을 손상시킨 사람이라는 노골적인 비난을 받았다.


그는 여러 마을을 다니며 환자와 가난한 이들을 찾아내어 도와주었다.





그 시대의 가장 큰 요구는 ’책임자와 구성원들’이 병들어 있는 교회를 개혁하는 것이었다.


가예타노와 3 명의 동료들은,


개혁의 최선책은 사제의 정신과 열정을 소생시키는 것이라고 결정을 내렸다.


그들은 함께 테아티노회로 알려진 수도회를 세웠다.


(그들 중의 한 사람은 후에 교황 바오로 4 세가 됨).


최초의 장상인 그들의 주교가 주교좌를 두고 있던 테아테(치에티)에서 테아티노회라는 이름이 나왔다.



그들은 칼 5 세가 1527 년 로마를 약탈하는 와중에 로마에 있던 그들의 집이 파괴되자 베네치아로 피신했다.


테아티노회는 프로테스탄트 개혁이 있기 전에 일어난 가톨릭 개혁 운동 중 가장 뛰어난 운동이었다.


그는 나폴리에 몬테 디 피에티(자선 기금)를 설립했다.


이는 많은 자선 단체 가운데 하나로서


저당물을 담보로 돈을 빌려 주는 비영리적 신용 기관 중의 하나이다.


이 기관의 목적은 가난한 사람을 돕고 고리 대금업자들에게서 그들을 보호하는 것이었다.


가예타노의 이 작은 기관은 마침내 정치적인 큰 변화와 더불어 나폴리 은행이 되었다






가스팔 디 티에네 백작과 마리아디 포르토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


비첸사에서 세례를 받고, 두 살 때 그의 부친이 전사하는 불운을 안았다.


그는 어머니 슬하에서 자라나, 파두아 대학교에서 공부하여 민법과 교회법의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는 곧 비첸사의 시의원이 되었고,


1506년에는 로마로 가서 교황 율리오 2세로부터 최초의 공증인으로 임명되었다.


또한 그는 신심 깊은 사제들로 구성된 신애회를 재생시켰다.


1513년, 율리오 교황이 서거하자 자신의 직책을 사임하고, 1516년에 사제로 서품된 후, 비첸사로 돌아왔다.


그는 거기서 성 예로니모의 오라토리오회에 입회하여 가난하고 병든 사람들을 위하여 일하다가,


베로나에서 이와 비슷한 회를 창설하였다.



1523년, 그는 로마로 가서, 후일 교황 바오로 4세가 된 요한 피에트로 카라파, 바울로 콘시글리에리


그리고 보니파시오 다콜레 등과 함께 교회를 개혁하고, 백성들에게 설교하며, 병자를 돕고,


최악의 경우에서 허덕이던 성직자의 신분을 개선하려는 목적으로


성직 수도회를 창설하여,1524년에 교황 클레멘스 7세의 승인을 받았다.



테아턴회라 부르는 이 수도회는 공동체 생활을 하는 정규 성직자들로 구성하고,


서원을 발하며, 사목직에 종사하였다.


처음에는 그리 성공적이 못되었다.1530년, 가예따노가 총장으로 선출되었다.


가예따노의 주요 업적 중의 하나는 전당포의 설립이었다.


후일, 그는 복자 요한 마리노니와 함께 몬테스 피에타티스를 설립하여


가난한 사람들에게 돈을 빌려주는 일로써 시민들의 복리를 위해 일하였다.


그는 트렌트 공의회 전에 있었던 가톨릭 개혁가들 중에서도 가장 뛰어난 성인이다.


그는 기도 생활과 이웃에 대한 사랑에서 뛰어났으며,


1547년 8월7일 나폴리에서 운명하였고 1671년에 시성되었다.






성 가예따노 사제의 편지에서


(Epist.ad Elisabeth Porto: Studi e Testi 177, Citta del Vaticano 1954, pp.50-51)



그리스도께서 믿음으로 말미암아 우리 마음에 거하시길 바랍니다.



나는 죄인이고 내 자신 아무것도 아니라고 생각하지만 하느님의 뛰어난 종들의 전구에 당신을 맡기고


그들이 당신을 위해 그리스도와 그 모친께 기도해 주시기를 기원합니다.


그러나 당신 스스로가 그리스도의 마음에 들게 할 수 있는 것만큼


다른 성도들은 할 수 없다는 것을 잊지 말아 주십시오.


열쇠는 당신께 있습니다.


그리스도께서 당신을 사랑해 주시고 도와 주시기를 바란다면,


당신은 먼저 그분을 사랑하고 모든 지향을 언제나 그분을 기쁘게 해드리는 데에 두어야 합니다.


그리고 모든 성도들과 피조물이 당신을 버린다 행도 그리스도께서는 당신에게 필요한 어떤 것이 있을 때


언제나 도와주신다는 것을 의심하지 말아야 합니다.



이승에서 우리는 아직 여행 중에 있는 순례자입니다. 우리의 본향은 하늘에 있습니다.


교만으로 부풀어 있는 사람은 누구나 바른길에서 벗어나 죽음으로 달려가고 맙니다.


우리는 이땅에 살고 있는 동안 영원한 생명을 얻고자 애써야 합니다.


그런데 죄로 말미암아 우리가 이 생명을 잃었기 때문에 그것을 우리 스스로는 얻을 수 없습니다.


우리를 위해 그것을 되찾아 주신 분이 계십니다. 그분은 바로 그리스도이십니다.


우리는 그 분께 항상 감사 드려야 하고 그분을 사랑해야 하며


그 분께 순명해야 하고 할 수 있는 한 그분과 함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그리스도께서는 우리 양식으로서 당신 자신을 주셨습니다.


이렇게도 큰 은총의 선물을 모르는 사람은 참으로 불행합니다.


우리는 동정 마리아의 아드님이신 그리스도를 차지 할 영예를 얻었는데 그분을 포기하면 되겠습니까?


그리스도를 받아들이려는 마음이 없는 사람은 불쌍합니다.


나의 딸이여, 내가 내 자신을 위해 하느님께 청하는 것을 당신을 위해서도 간절히 청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그것을 참으로 얻고자 한다면 하나의 길 밖에 없습니다.



동정 마리아께서 그분의 위대한 아드님과 함께 당신께로 오시도록 간청하고 더 나아가


제단의 거룩한 성사에서 영혼의 참된 양식이 되시는 그분의 아드님을 주시도록 간청해야 합니다.


그러면 동정 마리아께서는 아드님을 당신께 기꺼이 주실 것이고


또 아드님은 당신을 아주 기쁘게 찾아 주시어 당신은 온갖 원수들이 잠복해 있는


이 어두운 숲을 무사히 통과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 원수들은 우리가 그러한 도움에 의탁하고 있음을 알게 될 때


멀리 떨어져 우리에게 아무런 해도 끼치지 않을 것입니다.



내 딸이여, 예수 그리스도의 뜻이 당신의 뜻에 복종하기를 희망하면서 그분께 접근하지 마십시오.


오히려 당신 자신을 주님께 맡기어


주님께서 당신을 맞아들이시고 원하시는 대로 당신을 인도하시도록 하십시오.


나는 이것을 바라고 이것을 권고 합니다.


또 내가 할 수만 있다면, 억지로라도 당신이 그렇게 하도록 만들고 싶습니다.






많은 가톨릭 신자들은, 만일 제2차 바티칸 공의회가


1962년 첫 회기중에 바로 중지되었다면 교회 성장에 큰 일격이 가해졌을 것이라고 생각할 것이다.


가에타노도 트렌트 공의회에 대해 똑같은 느낌을 가졌다.


그러나 가에타노가 말했듯이 하느님은 베네치아에서처럼 나폴리에도 똑같이 계시며,


트렌트 공의회나 제2차 바티칸 공의회(혹은 제3차 공의회)가 있든 없든 언제 어디서 나 계시다.



우리 스스로가 처한 환경이 어떻든 간에 하느님의 전능에 자신을 열어 보이면 하느님의 뜻이 이루어진다.


하느님은 우리와는 다른 성공의 기준을 가지고 계신다.





가에타노가 자기 수도회를 위한 집을 짓기 위해 나폴리에 파견되었을 때,


어떤 백작이 그에게 토지 소유권을 받아들이게 하려고 설득하였다.


그러나 그는 거절했다.


백작이 "나폴리 사람들은 베네치아 사람만큼 풍족하지 않기 때문에 돈이 필요할 것이다."하자


가에타노는 "그 말이 맞을 것입니다. 그러나 주께서는 두 도시에 똑같이 계십니다."라고 대답했다.






이 성인은 1480년 이탈리아의 비첸자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근위병 총지휘자였는데 성인이 두 살때에 세상을 떠났다.


어린 두 형제는 성실한 어머니 슬하에서 고이고이 자랐다.


가예타노는 어렸을 때부터 사제가 될 결심으로 열심히 공부해 24세에 이미 법학 박사 학위를 얻었다.


그는 잠시 교회의 행정관으로 지낸후, 1516년 그의 나이 36세에 서품을 받았다.


사제가 된 후로는 예전보다 더 열성을 내어 자기 성화에 온 힘을 다했다.


그 이듬해 성탄 절, 그가 말구유 앞에서 열심히 기도를 하고 있을 때


갑자기 성모님께서 발현하시어 아기예수를 그의 품에 안겨 주셨다.


그때부터 그는 하느님을 사랑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희생이라도 사양하지 않으리라는 결심을 굳게 했다.



1518년에 그의 어머니가 세상을 떠났다.


임종하시는 어머니의 머리맡을 떠나지 않고 시중해 드린 가예타노는


그 후 오랫동안 비첸자에 머물러 있으면서 병자를 돌보기 위한 형제회를 세웠다.


또한 불치의 환자만을 수용하는 요양소를 설치하고, 그곳에서 항상 환자들과 지내고자 햇다.


그러다가 장상의 명령대로 베로나에서 베네치아로 옮기게 되었다.


그곳에서도 또한 병원을 세우고 손수 그 간호에 종사했다.


그의 친척들은 그런 사업을 대단히 반대하며 그에게 갖은 비난을 퍼부었으나


가예타노는 아무 말도 없이 겸손과 인내로 모든것을 받아들였다.



그를 만난 사람, 더욱이 가난한 사람들과 병자들은


그의 독실한 신앙심과 경건한 모습에 감화되지 않는 이가 없었다.


사실 그가 미사 성제를 올릴 때의 모습은 마치 천국에서 움직이는 성인과 같았으며


그의 강론의 힘은 가장 완고한 죄인이라도 능히 움직일 수 있을 힘을 가졌었다.





가예타노는 인류의 구원 사업을 더욱 크게 넓히기 위해 성직 수도회를 세울 생각을 하고


이런 일에 매우 신중을 기하고 심사 숙고하여 열심히 하느님의 가르치심만을 구했다.


그러면서 이 계획을 법학 친구에게 말했는데


그 친구는 이를 기뻐하며 격려해 줄 뿐 아니라 제일 먼저 회원이 되어 주었다.



그 시대의 유명한 주교 가라파가 이 수도회에 입회한 것은 그 후 얼마 안되어서였다.


이분도 역시 성인이시지만 성격 상으로는 가예타노와 아주 다른 분이었다.


대단한 정력가로서 아무리 활동을 해도 피로를 느끼지 않는 분이며, 대단한 정치적 수완의 소유자였다.


그러므로 가예타노에게 있어서는 수도회의 발전상 없어서는 안 될 귀중한 존재였다.



수도회 설립에 있어서 제일 먼저 필요한 것은 교황의 인가였는데


교황은 새 수도회의 인가를 대단히 주저했으므로 곤란한 점이 많았다.


그러나 가예타노를 아는 많은 명망가들의 간절한 청원도 있고 더욱이 가라파 주교의 덕망을 보고


마침내 교황 클레멘스 7세는 1524년 이 회를 인정했다.





수도회의 창립자는 가예타노지만 명칭은 테아틴회(Theatines)라 했다.


이는 겸손한 가예타노가 그 회의 초대 총장인 가라파 주교의 거주지인 테아티노를 따서


그 회를 불렀기 때문이다.


가라파 주교 역시 그 회의 창립자인 가예타노를


회의 창립자(사부,師父)로 섬기기를 서슴지 않았던 겸손한 분이었다.



회의 목적은 신자들에게 교리를 가르치고 병자들을 돌보며


하느님께 대한 흠숭의 예식을 성대히 하며 순명, 정결, 청빈의 서원을 지키며 자신을 성화하는 것이었다.


가예타노는 곳곳에 수도원을 건립하게 되어 각 지방에 여행하지 않으면 안 되엇다.



그럼으로써 가는 곳마다 그의 덕망이 나타났고 그의 열렬한 기도로 때로는 기적도 일어났다.


가예타노는 쟁론을 조정시키는 역할도 했는데 그럴 때마다 현명한 재판으로 당사자들을 언제나 감복시켰다.





이런 성인에게도 고통이 없을 수는 없었다.


1547년 나폴리 지방에 대혁명이 일어났을 때 시민들은


가예타노에게 불의 부당한 비방과 갖은 비난을 퍼부었다.


이에 큰 충격을 받은 그는 마침내 중병에 걸리게 되었고 담당 의사의 모든 치료에도 아무 효과가 없었다.


그래서 동료들은 다른 의사를 또 초청하려고 했으나 이 말을 들은 가예타노는


"저같이 가난한 사람에게는 의사 한 분 이면 충부합니다"하며 거절했다.



그는 병 중에 있으면서도 조금도 편안함을 찾지 않았다. 오직 열렬한 마음으로 성체를 영하고,


동료들에게는 자기의 부덕함을 깊이 사과하고


그들의 후의(厚意)를 감사하며 편안히 숨을 거두었다. 때는 1547년 8월 7일이었다.


그는 트리엔트 공의회 전에 있었던 가톨릭 개혁가들 중에서도 가장 뛰어난 성인으로 1671년에 시성되었다.









♬ Kyrie eleison - taize







San Gaetano Thiene Sacerdote
7 agosto - Memoria Facoltativa
Vicenza, ottobre 1480 - Napoli, 7 agosto 1547


Nacque a Vicenza dalla nobile famiglia dei Thiene nel 1480, e fu battezzato con il nome di Gaetano, in ricordo di un suo celebre zio, il quale si chiamava così perché era nato a Gaeta. Protontario apostolico di Giulio II, lasciò sotto Leone X la corte pontificia maturando, specie nell'Oratorio del Divino Amore, l'esperienza congiunta di preghiera e di servizio ai poveri e agli esclusi. È restauratore della vita sacerdotale e religiosa, ispirata al discorso della montagna e al modello della Chiesa apostolica. Devoto del presepe e della passione del signore, fondò (1524) con Gian Pietro Carafa, vescovo di Chieti (Teate), poi Paolo IV (1555-1559), i Chierici Regolari Teatini. Per la sua illimitata fiducia in Dio è venerato come il santo della provvidenza. (Avvenire)


Etimologia: Gaetano = nativo di Gaeta, dal latino

Nacque a Vicenza dalla nobile famiglia dei Thiene nel 1480, e fu battezzato con il nome di Gaetano, in ricordo di un suo celebre zio, il quale si chiamava così perché era nato a Gaeta.
Laureatosi a Padova in materie giuridiche a soli 24 anni, si dedicò allo stato ecclesiastico, senza però farsi ordinare sacerdote, perché non si sentiva degno; fondando nel contempo nella tenuta di famiglia a Rampazzo, una chiesa dedicata a S. Maria Maddalena, che è ancora oggi la parrocchia del luogo.
Trasferitosi a Roma nel 1506, divenne subito segretario particolare di papa Giulio II, ed ebbe l’incarico di scrittore delle lettere pontificie, ufficio questo che gli diede l’opportunità di conoscere e collaborare con tante persone importanti.
Siamo nel periodo dello splendore rinascimentale, che vede concentrati a Roma grandi artisti, intenti a realizzare quanto di più bello l’arte era in grado di offrire, e che ancora oggi il Vaticano e Roma offrono all’ammirazione del mondo; nel contempo però la vita morale della curia papale, del popolo e del clero, a Roma come altrove, non brillava certo per santità di costumi.
Gaetano non si lasciò abbagliare dallo splendore della corte pontificia, né si scoraggiò per la miseria morale che vedeva; egli ripeteva: “Roma un tempo santa, ora è una Babilonia”; invece di fuggire e ritirarsi in un eremo, da uomo intelligente e concreto, passò all’azione riformatrice, cominciando da sé stesso; incoraggiato da una suora agostiniana bresciana Laura Mignani, che godeva di fama di santità.
Prese ad assistere gli ammalati dell’ospedale di San Giacomo, si iscrisse all’Oratorio del Divino Amore, associazione che si riprometteva di riformare la Chiesa partendo dalla base, il tutto alternandolo con il lavoro in Curia; anche in queste attività conobbe altre personalità, che avevano lo stesso ideale riformista.
Nel settembre 1516 a 36 anni, accettò di essere ordinato sacerdote, ma solo a Natale di quell’anno, volle celebrare la prima Messa nella Basilica di S. Maria Maggiore. In una lettera scritta a suor Laura Mignani a cui era legato da filiale devozione, Gaetano confidò che durante la celebrazione della Messa, gli apparve la Madonna che gli depose tra le braccia il Bambino Gesù; per questo egli è raffigurato nell’arte e nelle immagini devozionali con Gesù Bambino tra le braccia.
Ritornato nel Veneto, nel 1520 fondò alla Giudecca in Venezia l’Ospedale degli Incurabili. Instancabile nel suo ardore di apostolato e di aiuto verso gli altri, ritornò a Roma e nel 1523 insieme ad altri tre compagni: Bonifacio Colli, Paolo Consiglieri, Giampiero Carafa (vescovo di Chieti, diventerà poi papa con il nome di Paolo IV), chiese ed ottenne dal papa Clemente VII, l’autorizzazione a fondare la “Congregazione dei Chierici Regolari” detti poi Teatini, con il compito specifico della vita in comune e al servizio di Dio verso gli altri fratelli.
Il nome Teatini deriva dall’antico nome di Chieti (Teate), di cui uno dei fondatori il Carafa, ne era vescovo. L’ispirazione che egli sentiva impellente, era di formare e donare alla Chiesa sacerdoti che vivessero la primitiva norma della vita apostolica, perciò non ebbe fretta a stendere una Regola, perché questa doveva essere il santo Vangelo, letto e meditato ogni mese, per potersi specchiare in esso.
Le costituzioni dell’Ordine furono infatti emanate solo nel 1604. I suoi chierici non devono possedere niente e non possono neanche chiedere l’elemosina, devono accontentarsi di ciò che i fedeli spontaneamente offrono e di quanto la Provvidenza manda ai suoi figli; con le parole di Gesù sempre presenti: “Cercate prima il regno di Dio e la sua giustizia e tutte queste cose vi saranno date in aggiunta”.
Nel 1527 avvenne il feroce ‘Sacco di Roma’ da parte dei mercenari Lanzichenecchi, il papa Clemente VII della famiglia fiorentina de’ Medici, fu costretto a rifugiarsi in Castel S. Angelo difeso dal Corpo delle Guardie Svizzere, che subì pesanti perdite negli scontri.
Anche s. Gaetano da Thiene, come tanti altri religiosi, fu seviziato dai Lanzichenecchi e imprigionato nella Torre dell’Orologio in Vaticano; riuscito a liberarsi si rifugiò a Venezia con i compagni dell’Istituzione.
Rimase nel Veneto fino al 1531, fondando, assistendo e consolidando tutte le Case del nuovo Ordine con le annesse opere assistenziali; accolse l’invito del celebre tipografo veneziano Paganino Paganini, affinché i Padri Teatini si istruissero nella nuova e rivoluzionaria arte della stampa tipografica, inventata nel 1438 dal tedesco Giovanni Gutenberg.
Nel 1533 per volere del papa Clemente VII, si trasferì insieme al suo collaboratore il beato Giovanni Marinoni, nel Vicereame di Napoli, stabilendosi prima all’Ospedale degli Incurabili, fondato in quel tempo dalla nobile spagnola Maria Lorenza Longo, insieme ad un convento di suore di clausura, dette ‘le Trentatrè’, istituzioni ancora oggi felicemente funzionanti; e poi nella Basilica di S. Paolo Maggiore posta nel cuore del centro storico di Napoli, nella città greco-romana.
La sua attività multiforme si esplicherà a Napoli fino alla morte; fondò ospizi per anziani, potenziò l’Ospedale degli Incurabili, fondò i Monti di Pietà, da cui nel 1539 sorse il Banco di Napoli, il più grande Istituto bancario del Mezzogiorno; suscitò nel popolo la frequenza assidua dei sacramenti, stette loro vicino durante le carestie e le ricorrenti epidemie come il colera, che flagellarono la città in quel periodo, peraltro agitata da sanguinosi tumulti.
Per ironia della sorte, fu proprio il teatino cofondatore Giampiero Carafa, divenuto papa Paolo IV a permettere che nell’Inquisizione, imperante in quei tempi, si usassero metodi diametralmente opposti allo spirito della Congregazione teatina, essenzialmente mite, permissiva, rispettosa delle altre idee.
E quando le autorità civili vollero instaurare nel Viceregno di Napoli, il tribunale dell’Inquisizione, il popolo napoletano (unico a farlo nella storia triste dell’Inquisizione in Europa) si ribellò; la repressione spagnola fu violenta e ben 250 napoletani vennero uccisi, per difendere un principio di libertà.
Gaetano in quel triste momento, fece di tutto per evitare il massacro e quando si accorse che la sua voce non era ascoltata, offrì a Dio la sua vita in cambio della pace; morì a Napoli il 7 agosto 1547 a 66 anni, consumato dagli stenti e preoccupazioni e due mesi dopo la pace ritornò nella città partenopea.
L’opera che più l’aveva assillato nella sua vita, era senza dubbio la riforma della Chiesa, al contrario del contemporaneo Martin Lutero, operò la sua riforma dal basso verso l’alto, formando il clero e dedicandosi all’apostolato fra i poveri, i diseredati e gli ammalati, specie se abbandonati.
A quanti gli facevano notare che i napoletani non potevano essere così generosi negli aiuti, come i ricchi veneziani, rispondeva: “E sia, ma il Dio di Venezia è anche il Dio di Napoli”.
Il popolo napoletano non ha mai dimenticato questo vicentino di Thiene, venuto a donarsi a loro fino a morirne per la stanchezza e gli strapazzi, in un’assistenza senza risparmio e continua. La piazza antistante la Basilica di S. Paolo Maggiore è a lui intitolata, ma la stessa basilica, per secoli sede dell’Ordine, è ormai da tutti chiamata di S. Gaetano; il suo corpo insieme a quello del beato Marinoni, del beato Paolo Burali e altri venerabili teatini è deposto nella cripta monumentale, che ha un accesso diretto sulla piazza, ed è meta di continua devozione del popolo dello storico e popoloso rione.
Nella piazza, come in altre zone di Napoli, vi è una grande statua che lo raffigura; da secoli è stato nominato compatrono di Napoli. Il suo è uno dei nomi più usati da imporre ai figli dei napoletani e di tutta la provincia. Egli venne beatificato il 23 novembre 1624 da papa Urbano VIII e canonizzato il 12 aprile 1671 da papa Clemente X.
San Gaetano da Thiene è la testimonianza di quanto la Chiesa nei secoli, attraverso i suoi figli, sia stata sempre all’avanguardia e con molto anticipo sul potere laico, nel realizzare, inventare e gestire opere di assistenza in tutte le sue forme per il popolo, specie dove c’è sofferenza. Ecco così i Monti di Pietà per giusti prestiti ed elargizioni, l’istituzione degli ospedali, orfanotrofi, ospizi, lebbrosari, ecc. a cui ieri come oggi i governanti più avveduti e non ostili, hanno dato il loro consenso o il prosieguo, anche se a distanza a volte di molto tempo.
Autore: Antonio Borrelli
_______________________
Aggiunto il 10-Jun-2003
Letto da 6083 persone



CAJETAN
Also known as
Cajetan the Theatine; Cajetan of Thiene; Cayetano; Gaetano; Gaetanus; Gaetano dei Conti di Tiene; Gaetano da Thiene
Memorial
7 August
Profile
Venetian nobility. Studied law in Padua, and was offered governing posts, but turned them down for a religious vocation. Ordained at age 36. In 1522, Cajetan founded a hospital in Venice for victims of incurable illness. Cajetan was aware of the need of reformation in the Church, and felt called to enter a religous community to serve the sick and poor. On 3 May 1524, with three others, including John Peter Caraffa who later became Pope Paul IV, he formed the Congregation of Clerks Regular (Theatines) at Rome with the mission of fostering the Church's mission and reviving the spirit and zeal of the clergy. Founded a bank to help the poor and offer an alternative to usurers (loan sharks); it later became the Bank of Naples. Known for a gentle game he played with parishioners where he would bet prayers, rosaries or devotional candles on whether he would perform some service for them; he always did, and they always had to "pay" by saying the prayers.
Born
October 1480 at Vicenza, Italy as Gaetano dei Conti di Tiene
Died
1547 at Naples, Italy
Beatified
8 October 1629 by Pope Urban VIII
Canonized
12 April 1671 by Pope Clement X
Patronage
job seekers; unemployed peopl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성이름 날짜 조회 수sort
668 프란치스칸 성인 1월20일 메시나의 성녀 유스토키아(2회) 안젤라 2010-01-17 9400
667 프란치스칸 성인 뽀르찌웅꼴라 file - 2002-06-18 9341
666 프란치스칸 성인 9월26일 성 엘제아리오와 복녀 델피아 부부(3회) 안젤라 2009-09-23 9250
665 프란치스칸 성인 6월13일 파도바의 성 안토니오 사제 학자(1회)♬태양의 찬가 안젤라 2010-06-12 9193
664 프란치스칸 성인 10월20일 복자 콘타르도 페리니(3회) 안젤라 2009-10-19 9179
663 프란치스칸 성지 성 프란치스코 대성당 file - 2002-06-18 9158
662 프란치스칸 성인 제 2회칙을 작성하다 file - 2002-05-10 9093
661 프란치스칸 성인 10월19일 십자가의 성바오로 사제 안젤라 2009-10-16 9010
» 프란치스칸 성인 8월7일 성 가예타노 사제♬Kyrie eleison - taize 안젤라 2010-08-07 8963
659 프란치스칸 성인 5월12일 성 판크라시오 순교자♬Ave Maria-caccini 안젤라 2010-05-10 8912
658 프란치스칸 성지 성 프란치스코 대성당 file - 2002-06-18 8755
657 프란치스칸 성인 11월23일 성 골룸바노 아빠스 안젤라 2009-11-23 8701
656 프란치스칸 성인 2월11일[세계병자의날]루르드의 복되신 동정마리아 안젤라 2010-02-06 8694
655 프란치스칸 성인 12월 27일 성 요한 사도 복음사가 안젤라 2009-12-25 8642
654 프란치스칸 성지 아시시의 거리3 file - 2002-06-18 8642
653 프란치스칸 성지 성 프란치스코 대성당_내부풍경2 file - 2002-06-18 8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