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lider01 slider02 slider03 slider04
프란치스칸 성인/성지

1월8일 성 세베리노 증거자

조회 수 1964 추천 수 0 2010.01.04 10:38:12












 


축일:1월8일


성 세베리노


St. Severinus


San Severino Abate


ST. SEVERINUS of Noricum


c.410 in North Africa -


8 January 482 at Favianae, Noricum (modern Austria) of pleurisy;


relics moved to Benedictine monastery of San Severino, Naples, Italy


Canonized :Pre-Congregation


 


 


출생지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한때 동방의 모체에서 수도자였음은 확실하다.


453년 이후, 성 세베리노는 오스트리아의 노리꾼에 정착했는데, 이곳은 이방인들의 본거지였다.


그는 다뉴브강을 따라 비엔나에서부터 파쏘에 이르기까지 주민들에게 복음을 전하면서,


파쏘와 파비안느에 최초로 수도원들을 세웠다.


그는 특히 훈 부족의 족장인 오도아체르의 존경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사후에는 그의 유해가 이탈리아로 옮겨졌다가, 나폴리에 모셔졌다.(성바오로수도회홈에서)


 


오스트리아 지방이 야만족의 침입으로 위험에 처했을때인 453년 경에


그곳에 정착한 성인은 이방인들에게 복음을 전하고 파소와 파비안느에 최초로 수도원을 세웠다.


엄격하고도 거룩한 생활로 그리스도를 증거하고


가난한 이들을 돕기위한 애긍을 청하는데 게을리 하지 않았으며 부자들에게 회개와 보속을 권하였다.


482년에 선종한 성인의 유해는 이탈리아의 나폴리에 모셔져 있다.


(성바오로딸수녀회홈에서)


 


 



 


하느님께서는 가끔 대 환난 시기에 성인을 보내시어 백성들의 영적 지도자를 삼고,


그의 표양과 행위로 인해 많은 이들을 멸망에서 구하시며, 영육간의 고민을 풀어 주시고,


그들의 신앙과 도덕을 보존케 하고 견고케 하려고 하시는 때가 있는데,


성 세베리노도 역시 이와 같이 하느님께 선택된 사람 중의 하나였다.


 


때는 5세기의 중엽 지금의 오스트리아 지방의 사방에서 야만족의 침입을 받고


대단히 위험한 상태에 있었을 때, 뜻밖에 천사와 같이 나타나


말과 행실로써 사람들에게 고행과 사랑을 권하고 또한 끊임없는 노력으로써,


오스트리아(당시의 노리쿰)를 야만족의 손에서 구해낸 것이 성 세베리노였다.


 


그러나 이 거룩한 사제가 어디서 탄생했는지, 또 그의 고향이 어디인지 알 수 없는 것은 섭섭한 일이다.


언젠가 그것에 대해 누가 물으면 "하느님의 일꾼에게 고향이나 형통의 이야기가 무슨 소용이 있습니까?


그러한 것은 차라리 말을 안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그렇게 하면 위험한 교만 죄에도 떨어질 염려가 없을 것입니다.


잘난 체하거낭 교만하지 않는 사람이야말로 착한 일을 할 수 있는 자격이 있는 것입니다.


 


그러한 사람들은 하느님의 도우심으로써 어떠한 선행도 할 수가 있을 것입니다.


나는 다만 천국 사람중의 하나가 되력 하는 것 외에는 하등 바라는 것이 없습니다.


이 세상의 고향같은 것은 문제가 되는 것이 아닙니다"하고 대답했다 한다.


다소 판명된 것은 그가 잠시 동양에 이주(移住)하고 있었다는 것뿐이다.


 


세베리노는 엄격하고도 거룩한 생활로 모든 사람들의 존경을 받았다.


그는 엄동설한에도 언제든지 맨발이었다.


음식은 하루종일 조금도 취하지 않을 때도 가끔 이었다. 그의 복장은 누추했고,


그의 조그마한 오막살이는 갈대와 진흙으로 만든 것뿐이었다.


그러나 그는 대부분 집에 있지 않고 사방으로 돌아다니면서


사람들에게 기도와 보속과 자선을 가르치며 권면했다.


그리고 자신을 위해서는 무엇하나 구하지 않았으나,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서는 자선을 청하는 것을 게을리 하지 않았다.


 


하느님을 생각하지 않고 사치생활을 하며, 죄악의 생활에 빠져 있는 부자들에게


진심으로 회개하여 보속을 하라고 권했다.


어떤 때 그의 말을 듣지 않는 사람이 있으면 그에게는 하느님의 정의(正義)와


죄에 대한 무서움에 대해서 말해 주었다.


이렇게 함으로써 그는 언제든지 그의 충고를 받아들이도록 했다.


 


사제 세베리노에 대한 존경은 점차 높아져 이제는 그의 훈계에 반항하는 이가 없게 되었다.


그는 곳곳에 그리스도교의 축복을 받게 하고 육신상의 자선 사업을 행했다.


 어느 곳에 가든 병자를 낫게 하고, 가난한 이를 도와 주었다.


그는 누구에게든지 위로를 주는 사랑이 갚은 아버지였다.


그가 얼마나 사람들에게 공경을 받고 있었던가는 항상 여러 집에서


그를 모시려고 경쟁을 한 사실을 보더라도 알 수 있다.


그 이유는 그가 멈루고 있는 집은 내외의 원수들이 침입을 못하고 항상 평화가 깃들었기 때문이었다.


사람들은 그의 강복을 받고, 또한 그의 기도로 병을 낫게 해 주기를 원하며, 먼데서 찾아오는 이도 많았다.


 


어느 날 12년간이나 고통으로 신음하며 전혀 수족을 쓰지 못하는 청년이


마차에 실려 어머니에게 부축 받으며 성인에게 왔다.


"무슨 일로 오셨습니까?"하고 성인이 물으니까,


어머니는 제발 아들의 병을 낫게 해주기를 열심히 부탁하는 것이었다.


그러자 경건한 세베리노는 이에 대답하기를 "그것은 나로서 할 수 없는 일입니다.


그것을 할 수 있는 이는 다만 하느님뿐입니다.


그러나 한가지 좋은 것을 가츠려 드리리다. 당신은 용기를 내어 가난한 사람들을 도우십시오.


그리하면 하느님께서 반드시 당신을 불쌍히 여겨 주실 것입니다…"했다.


 


그 어머니는 마침 자선을 베풀 물건을 하나도 가지고 있지 않았기 때문에


자기의 저고리를 벗어서 그것을 성인에게 드렸다.


세베리노는 그의 갸륵한 심정을 보고서,


"그 옷은 입으십시오. 그 대신에 집에 돌아가거든 반드시 자선을 하십시오"라고 말한 다음 기도를 바치니


그 즉시 아들의 병은 완치되었다고 한다. 이것은 아주 작은 한 가지 예에 불과하나,


 그의 기도에 대한 힘의 위대함을 표시하는 이야기는 얼마든지 있다.


그는 482년 1월 8일에 세상을 떠났다. 이 소식을 들은 국민은 누구하나


이 성인의 죽음을 슬퍼하지 않는 이가 없었다고 한다.


(대구대교구홈에서)


 



 



 


5 세기 중엽 지금의 ’오스트리아’ 지방이 사방에서 야만족의 침입을 받고 대단히 위험한 상태에 있었을 때,


뜻밖에 천사와 같이 나타나 말과 행실로써 사람들에게 고행과 사랑을 권하고 또한 끊임없는 노력으로써,


마침내 지금의 오스트리아-당시의 ’노리굼’을 야만족의 손에서 구해낸 이가 세베리노였다.


 


그러나 이 거룩한 사제가 어디서 탄생하였는지 또 그의 고향이 어딘지는 알 수 없다.


그는 엄격하고도 거룩한 생활로 모든 사람들의 존경을 받았다.


그는 엄동설한에도 항상 맨발이었다. 음식은 종일 조금도 취하지 않을 때도 가끔 있었다.


그의 복장은 누추하고 그 조그마한 오막살이는 갈대와 진흙으로 만든 것뿐이었다.


 


그러나 그는 대부분 집에 있지 않고 사방으로 돌아다니면서 사람들에게 기도와 자선을 가르치며 권면하였다.


그리고 자신을 위해서는 무엇 하나 구하지 않았으나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서는 청하는 것을 게을리 하지 않았다.


그는 곳곳에 그리스도교의 축복을 받게 하고 육신상의 자선사업을 행하였다.


그는 다뉴브강을 따라 비엔나에서부터 파소에 이르기까지 주민들에게 복음을 전하면서,


파소와 파비안느에 최초로 수도원을 세웠다.


그의 유해는 이탈리아로 옮겨졌다가 나폴리에 모셔졌다.


 


 


 



 


 


♬16.Canto Gregoriano-Pueri Hebraeorum Portantes


 


 


 


 


 


 


 


 


 


 


 


 


 


 


 


 


 


 


 


 


 


SEVERINUS of Noricum


 


Also known as


Severino


Memorial


8 January


Profile


Roman nobility. Gave away his wealth to live as a hermit in the Egyptian desert. Though he loved the quiet and contemplative life, he felt a call to evangelize, and he followed it.


 


Evangelized in Noricum, now part of Austria. Hermit near Vienna. Prophesied the destruction of Astura, Austria by the Huns under Attila. Established refugee centers for people displaced by the invasion. Founded monasteries to re-establish spirituality and preserve learning in the stricken region


 


One winter, the city of Faviana on the River Danube was starving. Following a sermon by Severinus on penance, the ice cracked, and food barges were able to dock.


 


Noted travelling preacher and healer throughout Austria and Bavaria. Established funds to rescue captives. Ate once a day, less in Lent, went barefoot, ignored the weather, and slept on a sackcloth that he spread on the ground whereever he stopped. Foretold the date of his own death, and died singing Psalm 150.


Born


c.410 in North Africa


Died


8 January 482 at Favianae, Noricum (modern Austria) of pleurisy; relics moved to Benedictine monastery of San Severino, Naples, Italy


Canonized


Pre-Congregation


Patronage


Austria


 


 


 


 


San Severino Abate


 


8 gennaio


410-482


 


Nato da nobile famiglia romana, visse una vita austera e penitente ed ebbe fama di taumaturgo. Tale era il suo carisma che, da regioni lontane, i potenti gli chiedevano consigli. Egli aveva compreso che la societa romana in decadenza avrebbe beneficiato di questa linfa nuova quando fosse stata evangelizzata; in questo senso e esempio, ancora oggi, di apertura e lungimiranza.


 


 


Etimologia: Severino = austero, rigido, signif. chiaro


Emblema: Bastone pastorale


 


Nel V secolo l’impero romano d’Occidente fu progressivamente sommerso dagli invasori germanici: Visigoti, Ostrogoti, Vandali, Svevi, Burgundi, Alemanni, Franchi. Nella generale devastazione solo le realta e le autorita cristiane costituivano un punto fermo per la sopravvivenza. Tale e il contesto storico in cui si inseriscono la figura e l’opera di S. Severino, l’apostolo del Norico. Nato forse da nobile famiglia romana verso il 410, dopo un soggiorno in Oriente, intorno al 454 si stabili sul Danubio, ai confini del Norico e della Pannonia, erigendovi dei monasteri idonei a dar rifugio alle popolazioni minacciate e al tempo stesso punti di irradiazione del vangelo tra le tribu barbare.


Ugualmente portato alla vita contemplativa ed eremitica ed all’attivita missionaria e favorito del carisma della profezia, S. Severino fu preveggente anche sul piano umano. Comprese infatti che il moto delle giovani popolazioni barbare era inarrestabile e che la decadente societa romana avrebbe tratto vigore dalla trasfusione di queste nuove forze.


Era pero necessario aprire le loro menti alla verita del vangelo prima ancora entrare in diretto contatto. Con un gesto coraggioso che gli attiro l’ammirazione dei rudi guerrieri, raggiunse Comagene, gia in mano nemica; la sua concreta carita verso i bisognosi gli conquisto in maniera definitiva il cuore semplice dei "barbari", a cominciare dai capi. Gibuldo, re degli Alamanni, mostrava per lui "somma riverenza ed affetto", come dice il suo biografo Eugippo, e lo ascoltava con rispetto, docile come un figlio; Flacciteo, re dei Rugi, "lo consultava nelle imprese pericolose come un oracolo celeste".


Non mancarono segni del cielo che convalidavano le sue parole. Un giorno la nuora di Flacciteo aveva convinto questi, contro il parere di Severino, a non concedere la liberta ad alcuni prigionieri; Severino l’ammoni con energia a temere l’ira di Dio: quella notte stessa il nipote di Flacciteo venne fatto prigioniero da un’altra tribu barbarica e ottenne la liberta solo per intervento di Severino.


Riverito e amato dall’umile gente come da re e guerrieri, egli visse poveramente, senza trarre per se alcun vantaggio materiale: vestiva una tunica identica estate e inverno, dormiva le poche ore di sonno steso per terra, con i fianchi cinti dal cilicio, e in quaresima prendeva cibo solo una volta alla settimana. Mori l’8 gennaio 482. Le sue reliquie vengono ora venerate a Frattamaggiore (Napoli) insieme al martire Sosso.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성이름 날짜 조회 수sort
12 프란치스칸 성인 [이콘]신약성서의 삼위일체♬Laudate Dominum 안젤라 2010-05-30 2603
11 프란치스칸 성인 4월17일(7월14일)[문헌.여성의존엄]복녀 카테리 테카크위타♬Alleluia 안젤라 2010-04-20 2551
10 프란치스칸 성인 2월28일[이콘]성녀 헤드비가 황녀♬Christus Factus Est 안젤라 2010-02-24 2522
9 1월5일 성 요한 노이먼 주교 안젤라 2010-01-04 2449
8 1월12일 꼬를레오네의 성베르나르도 수도자(1회) 안젤라 2010-01-10 2335
7 1월10일 성 아가토 교황 안젤라 2010-01-10 2159
6 1월7일 안티오키아의 성 루치아노 순교자 안젤라 2010-01-04 2045
5 1월11일 성 테오도시오 안젤라 2010-01-10 2032
4 1월6일 복자 안드레아 비제트 안젤라 2010-01-04 2011
3 초기양성반 시험문제 [1] 요셉 2010-01-07 1974
» 1월8일 성 세베리노 증거자 안젤라 2010-01-04 1964
1 1월11일 코리의 성 토마스(1회) 안젤라 2010-01-10 1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