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lider01 slider02 slider03 slider04
프란치스칸 성인/성지














 


축일:11월21일


성 젤라시오 1세 교황


San Gelasio I Papa


St. Gelasius I


(Papa dal 01/03/492 al 21/496)


 



 


아프리카 사람인 발레리우스의 아들로 로마에서 태어난 그는 로마의 성직자가 되었고,


492년 3월 1일에 펠릭스 2세를 계승하여 교황으로 뽑혔다.


 


그의 성덕, 정의, 애덕 그리고 학덕으로 명성을 떨친 젤라시오 교황은


콘스탄티노블의 총주교인 에우페미우스와의 문제로 곤경에 빠졌는데,


이 사건은 곧 아카치우스 이단으로 동서방 교회의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


 


불과 4년 반 가량 재위한 그는 탁월한 지도력을 발휘하였고,


로마 주교좌의 수위권을 보전하였을 뿐만 아니라


세속 권력이 영적인 권능 아래 있어야 함을 강력하게 역설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의 서한집과 몇 권의 다른 저서들이 있다.


(가톨릭홈에서)


 



 


[Icon] The Twelve Apostles. Greek


 


교황의 수위권


敎皇~首位權


papal primacy  


교황은 자기 임무에 의하여 보편 교회에 대한 권력을 가질 뿐 아니라


모든 개별 교회들과 그 연합들에 대하여도 직권의 수위권을 가지며,


이로써 주교들이 그들에게 맡겨진 개별 교회들에 대하여 가지는 고유한 직접적 직권이 강화되고 보장된다.


(교회번 제333조 ①항)



 


성 젤라시오Gelasius1세(?∼496) 교황(재위492∼496)


로마 태생(혹은 아프리카 태생이라고도 함).


교황 취임 후에 선임자인 성 펠릭스 3세의 종교정책을 계승하여 반단성론적(反單性論的)정책을 취하였다.


또한 마니교, 펠라지우스주의와도 투쟁하고,


아카키오스(Akakios)의 시스마(교회분리, 484∼518년)에 대해서는


콘스탄티노플 및 황제에 대한 로마 교황권의 우위를 주장하였다.


또한 성찬(聖餐)에 대해서는 빵과 포도주에 모든 신도가 참여해야 한다고 하였다.


 


다수의 저서가 있는데 그 중에는


그리스도 양성론(兩性論)을 옹호,주장한


《에우티케스 및 네스토리우스 박론(駁論)》(Adversus Eutyches et Nestorium)이 있다.


그는 이 이원론(二元論)적인 입장에서 아나스타시우스 황제에게 보낸 서한에서


교회와 국가와의 관계를 양권론(兩權論)으로 정식화하였는데,


즉 제권(帝權)과 성권(聖權)을 구별하였고 그래서 동로마제국의 양권력을 일원화시키는 데 반대하였다.


 


그밖에 다수의 《서한집》이 있는데 그 대부분은


아리우스주의, 펠라지우스주의, 마니교에 관한 것과 교회훈련에 관한 것들이다.


《Decretum Gelasianum de libris recipiendis et non recipiendis》는 그의 저서라고 보는 학자들도 있으나,


오늘날에는 그것을 인정치 않는 사람이 더 많다.


(가톨릭대사전에서)


 



 


 [이콘] Presentation of the Lord.


 


아프리카 사람인 발레리우스의 아들로 로마에서 태어난 그는 로마의 성직자가 되었고,


492년 3월 1일에 펠릭스 3세를 계승하여 교황으로 뽑혔다.


 


젤라시오 교황은 5세기에 겨우 4년간 교황직에 계셨다.


교황이 이룬 중요한 업적은 황제의 권한이 교황에 종속되야 한다는 이론이었다.


 


교황은 많은 전례를 미사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셨다.


교회의 모든 예식을 통일하는 법규를 만들었으니 이것이 "젤라시오 성사 예식서"이다


 


미사에 자비송(Kyrie eleison)을 도입하고,


라틴 예식서에서 장례 때 상용하던 가사 "영원한 안식을(Requiem Aeternam)"은


에스드라서 4권에서 인용한 것이다.


이 때에는 예식중에 사제가 관을 쓰는 것이 중요했고, 주의 봉헌 축일을 제정하였다.


 


496년 11월 21일에 서거한 교황은 바티칸 동굴에 안장되었다.


그 외에도 "가난한 백성의 아버지"라 불리던 젤라시오 교황은


자기의 온 재산에 4분의 1일을 가난한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었고,


모든 수도 성직자에게 그렇게 하기를 권고했다.


 


*주님 봉헌 축일(Presentation of the Lord):2월2일.게시판924번,1597번.


http://home.catholic.or.kr/gnbbs/ncbbs.dll/chinchang


 


 



 


 


 


♬Kyrie-Haydn-Missa Brevis Sancti Joannis de Deo


 


 


 


 


 


 


 


 


 


 


 


 


 


 


 


 


 


 


 


 


 


 


 


 


 


 


 


 


 


 


 


GELASIUS I


Memorial


21 November


Profile


Son of an African immigrant nameed Valerius. Priest. Pope. Known for his learning, charity, and sense of justice. Opposed the Acacian and Manichaean heresies. Came into conflict with the Patriarch of Constantinople over supremacy in Alexandria and Antioch. Suppressed many of the Roman pagan festivals, and ordered the reception of the Eucharist under both species, settling the argument of the proper form for Communion. Wrote for liturgical sacramentaries, and some of his work appears in the Leonine Sacramentary.


Born


at Rome, Italy


Papal Ascension


1 March 492 at Rome, Italy


Died


21 November 496 at Rome, Italy


 


 


San Gelasio I Papa


 


21 novembre


Sec. V


 


(Papa dal 01/03/492 al 21/496)


Africano, presiedette nel 494 il sinodo nel quale fu redatto il decreto che porta il suo nome e che distingue i libri rivelati accettati dalla Chiesa cattolica da quelli considerati come apocrifi.


 


La liturgia della Chiesa dedica questo giorno alla Presentazione di Maria Vergine al Tempio, seguendo u-n’antica tradizione che risale alla Gerusalemme del VI secolo quando, presso il Tempio, venne consacrata la basilica di Santa Maria detta Nuova.


L’episodio della presentazione al Tempio, come gli altri della nascita e della fanciullezza di Maria, non si trova nei Vangeli canonici. E’ narrato dal piu poetico tra i testi apocrifi, il cosiddetto Protoevangelo di Giacomo, che con tanta insistenza ha ispirato da una parte la devozione popolare, dall’altra gli artisti.


Come nome del giorno possiamo scegliere quello di Gelasio, perche oggi cade la memoria dei primo Papa di questo nome.


Il piu bell’elogio di San Gelasio Papa e quello di Dionigi il Piccolo, che scrisse di lui: " Mori povero, dopo aver arricchito i poveri ". Anche il Liber pontificalis dice che Gelasio " amo i poveri ".


Eppure, nella storia della Chiesa, la figura di questo Santo e rimasta come quella di un " uomo ", cioe di un Papa battagliero e intransigente, che nei quattro anni del suo breve pontificato tenne validamente testa al Senato romano, all’Imperatore di Costantinopoli e a vari eretici.


Di origine africana, il suo forte temperamento polemico risalta nelle lettere vigorose e mordenti, anche se un tantino verbose.


Al Senato romano, che amava il quieto vivere e permetteva ancora, nel V secolo, certe feste pagane, con la scusa che il popolo amava le tradizioni e voleva divertirsi, Papa Gelasio denunzio l’immoralita che quelle feste nascondevano o meglio rinfocolavano.


All’Imperatore di Costantinopoli, che credeva di poter intervenire nel governo della Chiesa, Gelasio scriveva chiaramente che il Papa era lui, e che non avrebbe permesso la piu piccola ingerenza del potere civile nelle questioni ecclesiastiche.


Egli affermava chiaramente, insomma, quella che fu detta poi " la supremazia dello spirituale sul tempo-rale ".Il Papa era superiore all’Imperatore, non perche volesse governare o peggio opprimere, ma perche era suo compito guidare e salvare tutti gli uomini, compreso l’Imperatore.


Oltre che maestro di morale, il Papa era anche maestro di dottrina. Percio Gelasio coni: batte risolutamente gli eretici Monofisiti, i Pelagiani, e i seguaci di Eufemio e di Acazio. Lo zelo di quest’uomo accusato di essere duro nasceva dall’amore per la verita e per la carita. E la riprova della sua dedizione a Dio consisteva nella sua benevolenza verso i bisognosi.


Percio il suo piu bell’elogio, dopo la morte, avvenuta nel 494, fu quello che abbiamo gia citato: " Mori povero, dopo avere arricchito i poveri ". E si potrebbe aggiungere: " Mori non amato, da coloro che aveva arricchito con il suo amore di Padre severo, ma giusto ".


 


 


 


Fonte:   


 Archivio Parrocchia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성이름 날짜 조회 수
620 프란치스칸 성인 11월18일 크라코비아의 복녀 살로메아(2회) 안젤라 2009-11-18 22728
619 프란치스칸 성인 11월18일 성베드로 대성당과 성바오로 대성당 축성 봉헌 안젤라 2009-11-18 3620
618 프란치스칸 성인 11월19일 아시시의 성녀 아네스(2회) 안젤라 2009-11-18 32746
617 프란치스칸 성인 11월20일 발로아의 성 펠릭스 안젤라 2009-11-20 21239
» 프란치스칸 성인 11월21일 성 젤라시오 1세 교황 안젤라 2009-11-20 3586
615 프란치스칸 성인 11월21일 복되신 동정 마리아의 자헌 기념일 안젤라 2009-11-20 3931
614 프란치스칸 성인 11월22일 성녀 체칠리아 동정순교자 안젤라 2009-11-23 3264
613 프란치스칸 성인 [전례]그리스도 왕 대축일 안젤라 2009-11-23 3024
612 프란치스칸 성인 11월23일 성 골룸바노 아빠스 안젤라 2009-11-23 8701
611 프란치스칸 성인 11월23일 성 클레멘스 1세 교황 순교자 안젤라 2009-11-23 2976
610 프란치스칸 성인 11월23일 복자 미구엘 어거스틴 프로 순교자 안젤라 2009-11-23 2662
609 프란치스칸 성인 11월24일 성 안드레아 둥락 사제와 동료 순교자 안젤라 2009-11-23 3238
608 프란치스칸 성인 11월25일 알렉산드리아의 성녀 가타리나 동정 순교자 안젤라 2009-11-23 3129
607 프란치스칸 성인 11월26일 성 요한 베르크만스 안젤라 2009-11-25 11906
606 프란치스칸 성인 11월26일 성 실베스텔 고졸리니 아빠스 안젤라 2009-11-25 4665
605 프란치스칸 성인 11월26일 뽀르또 마우리찌오의 성 레오나르도 사제(1회) 안젤라 2009-11-25 3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