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lider01 slider02 slider03 slider04
프란치스칸 성인/성지











 


축일:10월20일
복자 콘타르도 페리니
Beato Contardo Ferrini Laico
Milano, 5 aprile 1859 – Suna, Novara, 17 ottobre 1902
Contardo = duro in battaglia, dal tedesco = hard in battle, from the German


 



 


복자 콘타르도는 1859년 4월4일 밀라노에서 태어났고 어린나이에 3회에 입회하였다.
법학 공부를 끝내고 교수로 있었다.
그는 학문 연구와 신앙 생활을 잘 조화할 줄 알았다.
1902년 10월17일 수나에서 선종했다.
(재속프란치스코회 지침서에서)


 



 


 


Ordo Franciscanus Saecularis 재속 프란치스코회란?


 


"Ordo Franciscanus Saecularis" 라는 명칭은 교황 바오로 6세께서
1978年 새 회칙을 인가하시면서, 붙여준 것이다.


 


가톨릭 교회는 이천년의 긴 역사를 살아오면서 성령의 인도하심으로
수많은 영적 가족들을 탄생시켰고, 그 중에 아씨시의 성 프란치스코를 창설자로 모신
1, 2, 3회의 영적가족이 있으니 그 숫자가 오늘까지 8백년 동안 수천만에 이르렀고
현재의 가족수도 백만이 훨씬 넘는다.
8백년동안 수천만에 이르렀고 현재의 가족수도 백만이 훨씬 넘는다.


 


1회는 프란치스코 남자 수도회를 말하고,
2회는 글라라회라고 불리우는 여자수되회며,
3회에는 수도자인 수도 3회와 재속 신분으로 구성된 재속프란치스코회를 말하며,
(전국 51개의 형제회와 6,500여명의 회원으로 구성되어있다.)



이들 프란치스코 영적 가족의 공통된 특징은 말할것도 없이
성 프란치스코의 발자취 안에서 우리 주 그리스도를 따르도록 부르심을 받았다는 점이다.


 


이 세가족은 활기에 찬 친교를 이루면서도 각기 다양하고 독특한 방법으로
성 프란치스코가 하느님께로부터 받아 실천한 빛나는 영성들을 스스로 배우고 익혀,
교회가 더욱 주님의 거룩하심으로 충만되도록 돕는다.


 


"선교활동"을 펴서 이 세상을 하루빨리 하느님 나라의 질서에로 돌아오는데에
그 공동목표두고 가톨릭 교회 안에서 전세계에 흩어져 있는 여러 계층의 형제회 즉.
지역, 지구, 전국, 국제형제회들을 묶은 하나의 조직체이다.
"입회자격은, 50세 미만의 가톨릭 신자이면 되고, 영세한지 3년이상.
견진성사를 받은 자라야 합니다.



성 프란치스코의 영적 가족들
1회는 프란치스코 남자수도회를 말하고, 2회는 흔히 가난한 클라라회라고 불리우는 관상수녀회이며,
3회는 수도생활을 하는 정규3회 및 수도3회와 재속 신분의 평신도 및 사제로 구성된 재속 프란치스코회가 있습니다.


재속 프란치스코회(Ordo Franciscanus Saecularis)라는 명칭은 이전까지
'프란치스코 3회'라고 불리우던 것을 교황 바오로 6세께서 1978년 새 회칙을 인가하면서
붙여준 것입니다. 



세 가족의 친교와 고유 역할
이들 프란치스칸 영적 가족들의 공통된 특징은 성 프란치스코의 발자취 안에서
우리 주 그리스도를 따르도록 부르심을 받았다는 점입니다.
이 세 가족은 활기찬 친교를 이루면서도 각기 다양하고 독특한 방법으로
성 프란치스코가 하느님께로부터 받아 실천한 빛나는 영성들을 스스로 배우고 익혀,
교회가 더욱 주님의 거룩하심으로 충만하도록 돕습니다.
또한 이들 세 가족은 선교활동을 펴서 이 세상이 하루 빨리 하느님 나라의 질서에로
돌아오게 하는 데 그 공동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교황이 인가한 세계적 공동체
재속 프란치스코회는 성 프란치스코 가족 중의 하나로서 독자적인 위치를 가지고
온세계 모든 평신도와 재속 사제들에게 개방되어 있습니다.
또한 가톨릭 교회 안에서 교황이 인가한 회칙으로 전 세계에 흩어져 있는
여러 계층의 형제회, 즉 지역, 지구, 국가형제회들을 묶은 하나의 공동체입니다. 


 


기원과 발전
재속 프란치스코회는 프란치스코 성인이 제자들과 함께 로마로 사도적 여행을 한 1212년경,
기혼 남녀 평신도들이 프란치스코와 그 동료들의 복음적 생활에 매력을 느껴
프란치스코의 모범을 따르려고 헌신하였던데서 비롯하였다.
당시에 귀족이나 천민이나 성직자나 평신도 등 많은 사람들이 프란치스코의 가르침에
이끌려 프란치스코에게 오기 시작하여 성인은 제3회를 생각했고,
그들에게 생활규범과 모든계층의 사람들에게 구원의 길을 제시하였다.
복자 루케치오 와 보나돈나 부부가 첫회원으로 알려져있다.
 
3회 배출 성인
제3회가 배출한 성인은 성 루도비꼬, 성 토마스모어, 성 요한 비안네,
헝가리의 성녀 엘리사벳 등 60여명이 되고,
그레고리오 9세로부터 바오로 6세까지 20여명의 교황과
비때르보의 성녀 로사, 시성 단테, 예술가 미켈란젤로, 라파엘, 탐험가 콜럼버스,
레지오마리애 창설자 프랭크 더프, 빈첸시오와 바울로회 창설자 프레데릭 오자남 등
각계 각층에서 3회원들이 프란치스코 성인의 발자취를 따라 교회를 빛냈다


(재속프란치스코 한국국가형제회홈에서)


 


 


♬ 태양의 찬가


 


 


 


 


 


 



Beato Contardo Ferrini Laico
17 ottobre - Comune 
Milano, 5 aprile 1859 – Suna, Novara, 17 ottobre 1902


Fu uno dei giuristi più apprezzati e uno dei maggiori romanisti del suo tempo. Nacque a Milano nel 1859 e si laureò in diritto a Pavia nel 1880; qui dal 1894, dopo aver insegnato in altre università, fu ordinario di diritto romano fino alla morte, nel 1902. Notevole fu la sua produzione scientifica, specie nell'ambito della storia del diritto romano e nella ricerca delle fonti. Uomo di profonda religiosità e sensibilità, si segnalò per numerose opere caritative a favore degli "ultimi", anzi, nonostante la sua posizione sociale, afferma coraggiosamente il suo impegno nella Chiesa. Dopo la sua morte, fu iniziata la causa di beatificazione, conclusa durante il pontificato di Pio XII, nel 1947.


Etimologia: Contardo = duro in battaglia, dal tedesco
 
"Aveva la pazienza di un benedettino nel leggere i testi antichi e le carte medioevali, nel penetrare il pensiero, nel confrontare fra di loro i vari codici, nel mettere in evidenza il significato più probabilmente vero e genuino. E sotto tale aspetto può dirsi che il Ferrini, pur dimostrandosi scienziato, fosse artista vero, perché aveva il senso profondo delle cose e uno spirito naturalmente ordinatore di tutti quegli elementi, dei quali s'intesse e plasma un'opera di scienza". Così si espresse un suo biografo; il papa Pio XII lo indicò come modello "dell'uomo cattolico dei nostri giorni".
Uomo di codici, di pandette, di studi severi relativi a fonti e storia del diritto romano. Tesi di laurea sul tema "Il contributo di Esiodo e Omero alla storia del diritto romano". Professore universitario di discipline giuridiche dal 1883 al 1902. Con questi dati si può sintetizzare professionalmente la vita di Contardo Ferrini. In realtà i più importanti e vissuti codici per lui furono il Vangelo e i dieci comandamenti, e suo quotidiano riferimento furono le "pandette" della tradizionale dottrina cattolica.
Nasce a Milano il 4 aprile 1859; il padre, docente di fisica al Politecnico, la madre religiosissima, sarella dell'abate Bucellati professore di diritto penale, si dimostrano genitori ideali per un avvio cattolico in tutto e per tutto. La famiglia è agiata, colta e pratica assiduamente la vita cristiana. L'educazione di Contardo inizia presso il collegio delle Orsoline di S. Ambrogio; dopo la licenza liceale nel 1876, si iscrive alla facoltà di giurisprudenza in Pavia, allievo interno del prestigioso collegio Borromeo; ottiene una laurea brillantissima nel 1880. Perfeziona per un biennio a Berlino gli studi sul diritto romano, vincendo una borsa di studio della Cassa di Risparmio.
Nel 1883, ad appena 24 anni, è docente a Pavia; la sua carriera di cattedratico si svolgerà successivamente a Messina, Modena e infine, nel '94, ancora a Pavia. Il professor Ferrini continuerà però a risiedere a Milano. Preferirà rimanere celibe, nonostante coltivi un elevato concetto del matrimonio come sacramento e come istituto indispensabile nella società civile.
In campo scientifico importantissimi e ancora oggi molto conosciuti sono i suoi scritti; in particolare il suo trattato sul diritto penale romano rimarrà per allievi e studiosi testo fondamentale. Si occupa inoltre abbastanza attivamente della vita sociale e politica: è consigliere comunale di Milano dal 1895 al 1899. Anche in questo incarico Contardo esprime l'equilibrio e la prudenza propria di un saggio amministratore e di un cattolico completo: sua preoccupazione è di difendere, per quanto possibile, l'insegnamento della religione nelle scuole primarie. Il professore manifesta il suo sapere con grande umiltà e ritrosia: negli studi spazia dal diritto alla filosofia, dalla glottologia alla letteratura italiana e straniera; in particolare è un appassionato ed esperto cultore del pensiero umanistico tedesco.
Nel tempo libero destina energie e attenzioni all'alpinismo che "sembrava avere l'ufficio di concorrere a integrare e a perfezionare il suo tipo morale".
Attento alle amicizie, offre la propria disponibilità a chi può sintonizzarsi con lui. Ma tutto il suo essere è proteso a raggiungere la perfezione cristiana nella vita. Nei suoi scritti religiosi la sua anima si espande in un continuo contatto con Dio, che trasforma chi scrive e chi legge in un "miles Christi", che lotta nel quotidiano per mantenere fisso il riferimento a Dio e alle sue leggi. Lettere agli amici, preghiere e opuscoli vari, trasmettono la sua capacità di elevarsi verso il Divino senza dimenticare il dovere professionale e umano.
Muore a 43 anni, colpito dal tifo, nella località di Suna (Novara), il 17 ottobre del 1902. Quando era ancora un giovane professore a Modena, quasi profeticamente aveva confidato a un amico: "Quanto a me, preferirei morire nella mia Suna. Se la morte mi cogliesse qui in Modena disturberei troppe persone, il rettore dell'università, i professori, le autorità dovrebbero scomodarsi in mille modi; a Suna mi accompagnerebbero all'ultima dimora soltanto gl'intimi, la gente del paese, i bambini, i poveri, quelli che soffrono, quelli che pregano, quelli che veramente giovano all'anima".
Fu beatificato il 13 aprile 1947.


Autore: Giuseppe Gottardo, da 'Santi verso il Giubileo' - Ediz. Messaggero Padova
_______________________
Aggiunto il 2-Feb-2001
Letto da 2315 person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성이름 날짜 조회 수
668 프란치스칸 성인 10월20일 성녀 베르띨라 보스까르딘 안젤라 2009-10-19 3084
» 프란치스칸 성인 10월20일 복자 콘타르도 페리니(3회) 안젤라 2009-10-19 9177
666 프란치스칸 성인 10월21일 성녀 우르술라 동정 안젤라 2009-10-19 6077
665 프란치스칸 성인 10월22일 성녀 마리아 살로메 안젤라 2009-10-19 3982
664 프란치스칸 성인 10월22일 복녀 요세피나 동정 순교자(2회) 안젤라 2009-10-19 3438
663 프란치스칸 성인 10월23일 카페스트라노의 성 요한 사제 안젤라 2009-10-22 3335
662 프란치스칸 성인 10월24일 성 안토니오 마리아 클라렛 주교 안젤라 2009-10-22 30965
661 프란치스칸 성인 10월25일 성 크리스피노와 크리스피아노 순교자 안젤라 2009-10-22 7328
660 프란치스칸 성인 10월25일 성 크리산토와 성녀 다리아 순교자 안젤라 2009-10-22 3936
659 프란치스칸 성인 10월26일 포텐차의 복자 보나벤투라 안젤라 2009-10-22 3146
658 프란치스칸 성인 10월27일 성 프루멘시오 주교 안젤라 2009-10-22 3608
657 프란치스칸 성인 10월28일 성 시몬과 성 유다(타대오) 사도 안젤라 2009-10-22 3249
656 프란치스칸 성인 10월29일 성 페트로니아(베드로니오) 안젤라 2009-10-28 3122
655 프란치스칸 성인 10월29일 성 나르치소 주교 안젤라 2009-10-28 3142
654 프란치스칸 성인 10월30일 성 알퐁소 로드리게스 안젤라 2009-10-28 17439
653 프란치스칸 성인 10월30일 아크리의 복자 안젤로(1회) 안젤라 2009-10-28 4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