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slider01 slider02 slider03 slider04
자유게시판

어제 저는 한 가지 중요한 글을 읽었습니다. 다음과 같은 글로 정부의 친환경 사업, 그 중 수소차 정책을 비판하는 글이었습니다. 이를 인용하며 이 글이 저명한 환경보호단체 그린피스로부터 나온 것임을 밝혀 둡니다. 그리고 이 글을 한 번 원문을 읽어 보시고 제가 인용할 수밖에 없는 그래서 중요하다고 볼 수 밖에 없는 이유를 아시게 될 것입니다. 그러나 문자 그대로 하지 않고 저의 평소 생각이 첨가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 둡니다.



정부는 수소차 사업을 이른 바 "친환경 수소차 사업"이라고 부르며 국민들에 대한 홍보와 그의 사업의 미래가 밝고 또한 환경 오염과 기후 위기, 아니 기후 재앙에 맞서는 장기적으로도 그리고 국민경제에도 도움이 되는 사업이라고 밝혀 왔습니다. 그런데 어제 제가 읽어 본 바로는 내용이 전혀 사실과 차이가 많았습니다.



수소차는 흔히 말하는 수소를 주연료로 쓰는 자동차를 말합니다. 그런데 그 수소가 다음과 같은 두 가지가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생산 방식에 따라 "그레이(Gray) 수소"와 "블루(Blue) 수소"가 있으며 그레이 수소는 생산 때부터 낭비가 심하고 오염 물질이 배출되며 블루 수소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얻는 수소로 오염 정도가 적은 반면 비용 문제가 심각하며 이러한 자동차를 주행하려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첫째로 오염 물질이 배출될 수밖에 없거나 (아니면 비용이 많이 든다)는 것입니다. 이는 즉 다시 말해서 환경 문제에 도움이 된다는 정부의 주장과 다르다는 것이며 이러한 자동차를 만드려고 즉 환경 문제를 줄이려고 하는 사업이 오히려 환경 문제를 만드는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는 것입니다. 이것부터가 중요한 걸림돌이라고 밖에 말하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다음은 "경제성이 없다"라는 이야기입니다. 즉 환경 문제에 대한 해결책이 된다고 말하는 주장은 차지하더라도 그 과정에서 블루 수소만 보더라도 생산에 아직은 많은 비용이 들고 수소차를 운행하다가 보면 많은 열손실이 발생하여 화석연료를 쓰는 차보다도 오히려 많은 에너지 손실, 즉 열손실이 많아서 경제적이지 못할 분만이 아니라 효율성이 없다는 것이었습니다.


그리고 "접근성이 낮다"는 것이었습니다. 전국적으로 수소차 충전소는 아직도 100개 정도 불과하며 그 충전소 건설 비용도 최소 30억 이상이 들고 찾아가기도 쉽지가 않다는 것입니다. 충전소 건설 비용이 많이들 뿐만이 아니라 그 접근성이 낮다는 이유는 결국 지금까지의 투자가 잘못되었다는 이야기가 됩니다.  그리고 다음의 보다 중요한 현실적 문제에 부딪히게 됩니다.


네번째로는 전기차에 비하여 그 미래가 밝지 않다는 것입니다. 우리나라는 지금 그 분야 즉 수소차 분야에서 최고의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자부하고 있지만 서구 사회에서는 이미 그리고 이웃 일본 같은 경우에도 이는 사양산업 취급을 벌써부터 받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외국의 대기업들은 이 분야를 이미 접고 있다는 이야기였습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이 분야에서 첨단을 달리고 있다고 자화자찬하면서부터 일이 엉뚱한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린피스는 이를 밝히고 있으며 우리가 수소차보다는 전기차 분야에 투자하여야 함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즉 문제의 본질적 측면인 "환경 문제에의 고려"와 "경제성" 그리고 "접근성" 이어서 "세계적 추세에 따른 평가" 이 네 가지만 보더라도 기대에 못 미치고 있어서 정부가 정책을 근본적으로 바꾸거나 대안을 새로 내놓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를 한 번 정도 여러분들도 생각하여 보셨으면 합니다.




우리는 많은 이야기를 들어 왔습니다. 일반 사람들이 보기에도 문제는 심각하며 보입니다. 국제 전문 단체들이 바라 보는 전세계 기온의 1.5도 상승 추세가 앞당겨져 2030년 정도로 예측이 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분야에서의 노력들 예를 들어 자동차 분야에서만도 아직도 99%가 화석연료를 쓰고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리고 이는 이제 심각하게 받아들여져야 합니다.


븍극의 얼음이 녹고 그 결과가 어떻게 될 거라는 비관적 전망은 우리는 아연실색하게 하고 있습니다. 빙하가 녹으면 어떻게 될까요...? 여기에 대하여 한 책의 제목은 우리를 긴장시키게 합니다. 말 그대로 "빙하가 녹으면 북극곰만 살아 남게 되는" 파국이 닥칠 거라는 이야기가 전해집니다. 우리는 반성해야 합니다. 


벌써 겨울의 날씨가 다가올 것 같습니다. 제가 듣고 같이 주장하였던 바 "꽃이 피지 않는 봄", "벌나비가 보이지 않는 여름", "열매맺지 않는 가을", "몹시 추운 겨울"...! 우리는 이를 단순히 지난 세기부터 문제시된 엘리뇨나 라닌야 정도라고 밖에 생각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저도 담배를 피우는 사람이라서 어쩌면 더욱 그러한 문제에 대하여 조금 더 책임이 있지는 않은가 생각을 해 봅니다. 아무튼 오늘은 이 정도까지 하도록 하겠습니다.



찬미 예수님. 주님의 평화를 빕니다. 굳이 그린피스만이 아니더라도 우리를 긴장시키는 이야기를 하는 단체들이 많이 있고 의로운 투쟁을 하고 있습니다. 우리는 그들의 질문과 노력에 응답해야 합니다. 나는, 그리고 당신은 무엇을 하고 있었고 지금 무엇을 하고 있습니까...? 이제 저도 꽤 오래전부터 이 문제에 관심을 가지게 된 것을 다행으로 생각합니다. 우리는 일상의 삶에 치여서 더 소중한 것들을 잊고 잃고 지내지 않았던 것은 아닐까요? 우리 반성하며 한 번 정도 생각하며 봅시다. 아멘. 감사합니다....!




-한 천주교신자이자 그리스도인이며 장애인 활동가로서 윤승환 사도 요한 올림.


윤승환

2021.10.14 23:17:34
*.69.194.26

여기에 대하여는 최근의 그린피스의 주장을 담은 인터넷 기사나 SNS 등을 참고하시기를 바랍니다. 아멘.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성이름 날짜 조회 수
공지 자유게시판 안내 국가형제회 2025-04-24 2777
1797 댕댕이 이야기.2-장애를 입은 강아지를 돌보는 주인을 보다-하느님의 눈, 인간의 눈...! [1] 윤승환 2021-10-17 48
1796 등대.제75호-코로나-19에 대한 소회;삼천년기 교회의 시련(이어어)-아, 티그라이...! [1] 윤승환 2021-10-16 43
1795 쉼표.60-그리스도인으로서는 잘못된 자세 가운데 하나;가끔씩 범하기 쉬운 실수. [2] 윤승환 2021-10-15 38
1794 쉼표.59-10월 15일;세계 손씻기의 날. 윤승환 2021-10-14 6
1793 등대 제74호-코로나-19에 대한 소회;삼천년기 교회의 시련(이어서)-하느님이 하늘문을 다시 여셔야 한다구요...? [1] 윤승환 2021-10-14 9
» 등대.제73호-코로나-19에 대한 소회;삼천년기 교회의 시련(이어서)-원초적인 문제;하석상대가 과연 좋은 일인가? [1] 윤승환 2021-10-13 7
1791 등대 제72호-코로나-19에 대한 소회;삼천년기 교회의 시련(이어서)-다름과 틀림의 차이를 인정하는 사회...! [1] 윤승환 2021-10-10 20
1790 등대 제71호-코로나-19에 대한 소회;삼천년기 교회의 시련(이어서)-문제의 본질과 해법...! [1] 윤승환 2021-10-09 6
1789 등대 제70호-코로나-19에 대한 소회;삼천년기 교회의 시련(이어서)-가본 길이라도...! [1] 윤승환 2021-10-09 6
1788 쉼표.58-가을날의 관상. [1] 윤승환 2021-10-09 7